팀명 |
팜살롱 |
일시 |
2015년 4월 19일 월요일 |
장소 |
희망토 사무실 |
참석자 |
서종효 대표, 백종운, 노의정 |
"건강의 키우는 도시농업 교육"
비가 쏟아지는 어느 날, 인터뷰하기 전부터 불안한 하루였다.
그 전날 받은 멘토링으로 심난하고, 기차표도 없어 짧은 시간 끝내야하는 인터뷰, 핸드폰 고장으로 서종효 이장님과 연락이 잘 닿지 않는 불안감
그래도 일단 진행해야하기에 희망토 사무실을 찾았고, 불안함과 달리 대학농부시절부터 함께 해온 서종효 이장이 반갑기만 하다.
(희망토 서종효 이장)
팜살롱 : 희망토는 어떤 단체인가요?
서이장님 : 도시농업을 매개로 다양한 교육컨텐츠 사업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온라인도 했었지만 지금은 거의 오프라인 교육으로 운영하고 있고, 직접 농장은 임대받아 분양사업부터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팜살롱 : 도시농업 교육 컨텐츠는 어떻게 운영하시나요?
서이장님 : 먼저 첫 번째 교육대상은 초등학생입니다. 초등학교를 찾아가 프로그램 기획서를 돌리기 시작해서 몇 개소 운영을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지금은 학교에서 먼저 연락오고 찾아옵니다.
팜살롱 : 그렇다면 학교에 텃밭을 직접 조성하나요?
서이장님 : 그때마다 다르죠 원하면 하고 아니면 안하고 조성을 작년에는 나무 가져가서 우리가 하고 그랬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잘해도 전문업체를 따라갈 수 없어 현재 거래처를 두고 함께 하고 있습니다.
(희망도 리플렛)
팜살롱 : 학교에서 하는 텃밭수업은 방과후 활동을 말씀하시는건가요? 그렇다면 수익구조나 혼자서 할 수 있는 수업의 수는 한계가 있을텐데 어떠신가요?
서이장님 : 맞아요 방과후나 그런거 들어가죠. 수익은 없습니다. 그래도 정기적으로 들어가면서 단체활동으로 축적하다보면 그 외 대상 수업도 점점 늘어납니다. 저희도 지금 학교는 4 곳을 들어가고 그외 농진청 연구과제나 지자체 텃밭 사업 등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팜살롱 : 텃밭학교나 텃밭분양을 하면서 쓰이는 자재나 땅은 어떻게 이용하시나요?
서이장님 : 종자 같은 것은 거래처가 있어 구매하고, 농장은 시에 도움을 받거나 지역민들의 도움을 받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땅을 저희는 7500원에서 10000원 정도 분양을 하고 있습니다.
팜살롱 : 단체의 방향은 어떻게 가고 계시나요.
서이장님 : 도시농업, 도시텃밭 정말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예 농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직접 운영, 관리해서 체험 프로그램으로 수입구조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단기 계약으로는 할 수 없으니까 거점 마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팜살롱 : 도시농업 너무 어렵네요 취지나 뜻은 좋지만 이거뭐 먹고 살수가 있어야지
팜살롱 : 단체는 주식회사를 하신 이유가 있나요?
서이장님 : 2인 출발이라 주식회사를 한 이유도 있고, 수익을 창출해 지속 가능하게 성장하고 확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사회적기업 제안도 들어왔지만 우리가 할 수 것부터 차근차근 할려고 합니다.
돌아오며 평가해보며...
백씨 : 도시농업 선배님들이 다들 힘들어하고 고민하는 이유는 역시 다 있었다... 때려칠까?
노씨 : (한 숨)
- 기존에 해왔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단순 호기심이 아니라 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하고 돈을 지불 해서라도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또다른 시장을 열어야겠다 라는 생각이 든다.
'2015 SEEKER:S Story > *팜살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팜살롱, 일본 도쿄 도시농업을 배워보다 (0) | 2015.09.12 |
---|---|
[액션프로젝트 보고] 2015토종씨앗나눔축제와 백혜숙 대표 인터뷰 (0) | 2015.05.06 |
[액션프로젝트 보고] 부산도시농업시민협의회 장유성 회장님 인터뷰 (0) | 2015.05.06 |
[액션프로젝트 보고] 2015 이클레이 세계총회와 안철환대표 인터뷰 (0) | 2015.05.06 |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팜살롱 - 청산별곡 (0) | 201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