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Globalwork Story/탐방단 소개

탐방단 소개 _ CDT and To





-
팀원

김수민 김대근

-
탐방분야 / 테마

문화예술 / 소규모 상점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디자인 네트워크

-
탐방국가 / 도시

  중국 / 상해, 북경

-
탐방기관
/ 인터뷰이 (interviewee)

1. 신티엔디

좁은 골몰길에 전통적인 시쿠멘 양식의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하나의 거리로 활성화 시킨 사례. 카페, 레스토랑, 쇼핑몰 등의 상점들이 중국전통양식과 각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접목되어 고유의 색을 드러내고 있다.
▶ 인터뷰이: 슈이온랜드 대표 H.S.LO (신티엔디의 개발을 주도한 업체. 중국 각지의 마스터플랜이나 리모델링 작업을 하는 회사이다. 중국 전통양식과 브랜드의 고유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기치로 내세우고 있다.)

2. 모간샨루 50번지 (M50)
밀가루, 방직 공장 건물 창고에 세가 싸다는 이유로 젊은 아티스트들이 하나둘씩 들어와 스튜디오들이 만들어진 사례. 중국의 아이덴티티가 무너지지 않을 채 젊은 예술가들의 특성이 그대로 들어나 있어, 마을 전체가 이슈화 된 사례이다. 이런 소규모 업체들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건축가 사무소 덩쿤예서지궁쭤스를 방문할 예정이다.


3. 타이캉루의 티엔즈팡
중국 정부의 대규모 개발을 거부하고 영세상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가게를 브랜딩하여 상하이의 전통과 고유 정서가 그대로 구현되고 있는 거리. 거리 곳곳에 아이덴티티를 구현한 다양한 리테일 샵들이 존재한다.


4. 신러루 스트리트
올드 상하이의 상징으로 꼽히는 프랑스 조계지. 오래된 시가지의 향취는 그대로 남기면서 현대적 감각을 살린 리테일샵들이 잘 조화된 케이스이다.


5. 더 엠페러 (the Emperor Hotel)
호텔이나 모텔 등의 숙박 업소 또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유력한 업종이다. 베이징의 호텔들 중 엠페러는 중국 고유 정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투숙객을 위한 편의성이 부각된 디자인으로 특히 주목받고 있다.


6. 러티안따오셔
도기 전문 매장으로 이곳은 다른 사례들과 달리 중국 전통 제품을 판매하면서도 디자인은 전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표현으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다.


7. 우

중국의 전통 공예품인 숄 등을 판매하는 가게이다. 전통과 상품성을 극대화하여 인테리어로 잘 표현한 사례이다.


8. 푸린탕

원난 지방의 전통 약국으로 타입화 되기 쉬운 상점을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해 구현화한 사례


9. 자더리 슈퍼마켓 - 상하이 창러루

대형마트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규모 슈퍼마켓. 인테리어와 브랜딩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전국에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10. 중국 사회적 기업 재단

▶ 인터뷰이: 사무총장 천이메이 _ 중국의 인권이나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기업가로서의 영리 활동보다는 자신의 이상을 믿고 활동하는 운동가적 생각을 버려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중국에서 태동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만나보고, 우리가 사회적 기업가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마인드와 자세를 지녀야 하는지 배우려고 한다.




-
팀이 하려고 하는 일과 이 탐방을 통해서 얻고 싶은 점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잃어 가는 소규모 상점들에게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부여하여 자영업자들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각 분야의 디자이너들과  협업 형태를 취한 일련의 작업을 통해 인력풀을 형성, 네트워크의 구심점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의 공생을 유도한다.

해외에 선행되어있는 소규모 상점들에 대한 브랜딩 작업과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구현되어 있는 곳을 방문하여, 잠재적 클라이언트 군으로 고려하고 있는 자영업 업종들에 대한 아이덴티티 작업 과정과 작업 후의 유지 보수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으로서 갖춰야할 기본 지식과 마인드를 배우기 위해 해외의 선진 사례를 보고 관련 기관을 탐방하여 적용점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
각오한마디!

모든 사람이 디자인적 수혜를 입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습니다! 제대로 배워와서 국내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