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finds!
'워크스' 해외탐방(독일_베를린)
▲ 클릭하면, '워크스'홈페이지로 이동
(1) dim/USE(딤)
(2) motto(모토)
(3) Etsy Labs Berlin(엣시랩)
(4) studio manuel raeder(스튜디오 마누엘래더)
'워크스'가 탐방을 다녀온 기관 중 첫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DIM'입니다.('DIM'은 비영리단체인 'USE'의 프로젝트 이름입니다.)
▲ 클릭하면, 'DIM'홈페이지로 이동
창립년도 |
1998년 / Frank Schonfeld |
현 대표 |
Frank Schonfeld |
주소 |
Oranienstrasse 26 10999 Berlin |
핵심주체 |
Frank Schonfeld |
기관설립배경과 목적 |
비영리 회사인 USE는 장애우가 사회에서 직업을 갖고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위해 지어졌습니다. 직업에 필요한 작업능력과 사회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작업능력 외에도 일반교육과정과 직업관련 과목, 예술, 스포츠 활동 등의 교육을 제공합니다. |
'워크스'는 2013년 8월 30일
베를린 크로이츠베르크에 위치한 'DIM'을 방문했습니다.
"WHY?"
'워크스'는 위탁판매가게 운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젝트와 워크숍을 기획해
예술가와 예술 관련 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연결을 돕고 있습니다.
'DIM'은 예술 공예 및 일반교육 과정을 통해 장애우들의 사회적 재활을 돕는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제작되는 상품들을 'DIM'과 해외 여러 곳에서 판매합니다.
재활-교육-판매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연구,조사하고 커리큘럼 및 제작 환경을 탐방하고 싶었습니다.
또한 워크숍/교육과 연계된 판매구조와 사회적 실천의 새로운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DIM'을방문하게 됐습니다.
[Interview]
Q1. DIM은 어떤 계기를 통해 만들어졌나요?
DIM은 비영리단체인 USE의 프로젝트 이름입니다. 1998년에 오픈하였으며 2008년에 모든 상품을 생산하는 팩토리를 열었습니다. 장애우가 사회에서 직업을 가지고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취지로 지어졌습니다.
Q2. USE의 뜻은 무엇인가요?
Union Sozialer Einrichtungen의 약어입니다.
Q3. 공익을 추구하는 숍으로 보이는데요, 지원금을 받아서 운영비를 충당하는지 아니면 순수하게 판매수익금으로 운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정부에서 지원을 받는 방법과 사회적기업을 통해 지원을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USE의 수익으로 운영합니다.
Q4. 작업들을 제작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간단히 말해주세요.
클라이언트에게 주문을 받아 제작하기도 합니다. 보통 한명이 하루에 10개의 브러쉬를 생산합니다. DIM에서 생산하는 상품에 관심이 많아 미국에서 대량 전시하고 판매하기도 합니다. 현재 독일, 영국, 호주, 미국, 일본 등 여러나라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Q5. 장애우는 상품 디자인에도 관여하는지. 상품의 수익은 어떻게 분배하며 수익으로 장애우들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DIM에서 생산하는 상품들은 이 곳에 소속된 두명의 디자이너가 디자인부분을 담당합니다. 그들은 재료비의 5%를 수수료로 갖습니다. DIM에서 작업하는 장애우는 한달에 보통 250유로를 벌고 정부에서 400유로정도의 지원금이 나옵니다. 보통 독립해서 살 경우 6-700유로가 드는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벌고 있습니다.
Q6. DIM의 교육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해주세요.
한명의 리더가 선생님 역할을 합니다. 효과적인 교육과 관리를 위해 12명의 장애우를 맡아요. 보통 독일의 일반적인 학교의 경우 리더 한명에30명정도를 맡습니다. 장애우들은 7AM부터 2~3PM까지 교육, 작업하는 시간을 보내고 일주일에 2~3회씩 독일어부터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을 받습니다.
Q7. 교육을 통해 장애우들의 재능을 이끌어내고 전시 및 판매로 연계하는 흐름이 흥미로워요. 교육을 통해 발생하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말해주셨으면 합니다.
교육을 통해 장애우들이 직업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사회적 지원으로만 살아가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며 이는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금전적 지원 외에 자립의 능력을 갖기 위한 사회적 지원-교육-이 중요합니다.
Q8. DIM의 생산/시스템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요?
작업뿐만이 아니라 고민상담이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지도하는 리더가 있습니다. 장애우-장애우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평범한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직업능력을 갖도록 할 수는 있지만 사회적 편견 때문에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 시스템과 여러 분야/방향의 교육을 적용해서 안정되게 일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IM의 특별한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와 DIM의 워크스테이션, 상품들 관람을 통해
DIM의 전반적인 이해는 물론 교육을 통한 아트웍 제작 시스템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또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워크숍과 아티스트와의 협력과정에 대해 들을 수 있었고,
수공예의 다양한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도 알게 됐습니다.
교육과 아트웍이 장애우의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습니다.
DIM은 제작된 물건에 대한 퀄리티, 관리, 비즈니스, 관계 등 섬세한 부분들까지 고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장애등급이나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방법에 대해서도 좀 더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쓰고 고민하는 것,
그리고 그들의 보다 안정된 상황을 위해 다양한 측면의 교육을 고려하는 것도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2013 SEEKER:S Story > *워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크스_해외탐방' (3)Etsy Labs Berlin(엣시랩) (0) | 2013.11.12 |
---|---|
'워크스_해외탐방' (2)motto(모토) (0) | 2013.11.12 |
'워크스_해외탐방' "works&finds!" (0) | 2013.11.08 |
이틀 간의 과자 축제, <제3회 과자전> 스케치 (0) | 2013.09.22 |
흥미진진한 과자 라인업, 과자 페스티벌 '과자전' (0) | 201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