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SEEKER:S Story/*보라

'보라_해외탐방' (2) ③'The village cafe' & ④'네팔 전통수공예 교육센터'

 (1) ① 'S.E.A center' & ② 'Sana Hastakala'

(2) ③'The village cafe' & ④'Nepal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3) ⑤'3 sisters adventure trekking' & ⑥'Women's Skills Development Organization'

 

 

세 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The Village Cafe'입니다. ^^

(2013년 10월 1일 방문)

 

창립년도

 xxxx년

현 대표

 라지 디딸

주소

 The village cafe (SAARC Business Association of Home Based Workers)

   Pulchowk, patan 44601

조직구성

 매니저 라지 디딸 - 더 빌리지 카페 직원

핵심주체

 라지 디딸

기관설립배경과

목적

 SABAHS는 그루 회원이 연관되어 있고 네팔 협회 2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SABAHS는 7개 국가에 천을 이용한 공장이 분포해있는데 The village cafe는 여러 SABAHS

 안에 있는 곳 중 네팔의 특별한 공간이다.

현황

 여성들을 위한 공장과 카페 운영중

 

네팔은 힌두교와 카이스트 제도로 인해 여성인권문제가 심각하지만

이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네팔여성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사회적약자인 네팔 여성이 직접 나서서 여성들과 아이들을 위해 일자리를 창출하거나,

그들을 돕는 사회적기업을 만드는 그들만의 노하우와 여러 조언을 듣고싶었습니다. ^^

 

 

 

[Interview]

 

<Interviewee_ '라지 디딸' 매니저>

 

 

Q) (보라) SABAHSThe village cafe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부탁드립니다.

A) (The village cafe) 우리는 SABAHS의 아래에 기업체로 네팔은 특히 레스토랑을 운영 중입니다. SABAHS는 그루 회원이 연관되어 있고 네팔 협회 2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곳에 소속되어 있는 그룹은 17이며 SABAHS를 통해 공정무역이 많이 홍보되고 있습니다.

SABAHS7개 국가에 천을 이용한 공장이 분포해있습니다. The village cafe은 여러 SABAHS 안에 있는 곳 중 네팔의 특별한 공간입니다.

 

Q) (보라) SABAHS의 다른 공장은 의류 중심인데 네팔은 왜 The village cafe를 운영하게 되었나요?

A) (The village cafe) 아직 시작한지 2년밖에 안되었지만 음식을 만들면 기술이 전파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손재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 서비스에 대해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을 거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네팔의 특징인 CAFE는 국내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고 스리랑카, 부탄에서도 늘어갈 예정입니다.

 

Q) (보라) 카페의 수익금은 직원들에게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A) (The village cafe) 우리는 기술교육에 중점을 두고 재료를 인도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다른 활동에 크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성장과정에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업은 하지 못하지만 서비스 교육을 위한 해외파견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퍼스날 교육은 단체로 10명씩 선발하며 인도로 가서 호텔 기술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교육 받은 여성들이 홀로 설 수 있도록 교육해주고 아직 cafe는 만들어진지 얼마 안되어 점차 스스로 공장에서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꿈입니다.

 

Q) (보라) 여성 종업원 내 계급, 종교 문제는 없나요?

A) (The village cafe) 종교와 계급이 다양하지만 큰 문제는 없습니다.

 

Q) (보라) The viilage cafe만의 특별한 음식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음식인가요?

A) (The village cafe) 네왈리만을 위한 민족 음식이 있습니다. 본 메뉴의 탄생 배경은 cafe 이전 기업에서 집에서 만든 음식으로 회식하는 문화가 있었는데 이 때 요모리라는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이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관련 영상: yomari punhi event at village cafe (youtube)

 

Q) (보라) The viilage cafe의 매니저 역할은 어떤 것인가요?

A) (The village cafe) 현재 매니저님은 마케팅 등 cafe 전반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보라) 여성근로자로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

A) (The village cafe) 점점 사회적 구조가 나아지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Q) (보라) The viilage cafe가 비즈니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무엇이 있습니까?

A) (The village cafe) 나만의 자신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보라) 한국의 여성사회적 기업가들에게 말해주고 싶은 말은?

A) (The village cafe) 이미 한국의 여성들은 잘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무슨 말을 해야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한가지, 자기가 하는 일을 꼼꼼하게 하고 같이 일하는 사람을 믿었으면 좋겠습니다.

 

 

카페의 메뉴로 네팔의 전통 민족음식을 알리는 사회적기업을 보니 인상 깊었습니다.

 

가장 놀라웠던 점은 각 국가별 연합 단체 및 사회적기업의 네팔 지부였다는 점입니다.

네팔에서 태동되어 시작된 까페가 아니라, 여러 국가들이 모인 단체에서 네팔지부를 낸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배경에는 사바라는 NGO단체가 있엇는데

네팔의 여성문제를 해결하는 NGO들이 많다는 것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여성만이 일하는 줄 알았던 이 카페에서 남성도 함께 일하고 있는 것을 눈으로 직접 보고,

네팔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이 같이 일한다는 신선함을 비로소 느꼈습니다.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을 고용할 계획을 세워 보다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대표의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더빌리지 카페를 통해서

여성들이 요리를 배우고 직접 레스토랑 운영이 되는 것이 꿈이라고 하셨습니다.

그 목표가 이루어 졌으면 좋겠습니. ^^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곳은?

 

'네팔 전통수공예 교육센터' 입니다. ^^

(Nepal Traditional Training Center)

 

 

'보라'네팔의 전통문화를 살리는 노력을 하고 있는 기업의 성공사례를 통해

여성들이 특화될 가능성이 있는 문화예술분야에서의 해결책을 찾아보기 위해

이곳을 찾았습니다. ^^

 

▲ 클릭하면, '네팔 전통수공예 교육센터'홈페이지로 이동

 

창립년도

 2006년 / 설립자 Mr. Prachanda Shakya

현 대표

 Mr. Prachanda Shakya

주소

 Aksheswor Mahabihar, Pulchowk, Lalitpur-3

조직구성

 Mr. Prachanda Shakya (대표) - 8명의 각 분야의 교수들

기관설립배경과

목적

 네팔 전통 수공예 센터의 임무는 살아있는 예술의 유산을 유지하고 새로운 세대의 예술을 전송하는 것입니다. 기관은 포괄적인 품질을 포함하는 예술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네팔 전통 수공예 센터의 목표는 사회적 성장을 돕는 것, 전통 예술에 기반을 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생각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창의적인 생각과 문화를 세계적으로 발전시키고, 또한 그것의 이해를 돕고자하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Interview]

 

<Interviewee_ 'Mr. Prachanda Shakya'>

 

 

Q) (보라) 사업시작계기가 어떻게 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처음에 절에서 공부를 하다가 마음 맞는 발렌티어티쳐들과 함께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의 삶 속에서 네팔의 예술에 대해 느꼈던 것이 많았습니다. 11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예술을 배웠고 더 배우고자하는 생각이 항상 있었지만 배우기 어려운 사회구조가 답답했습니다. 스스로 이러한 부족함을 느끼면서 center를 만들어냈습니다. 우리는 level test도 진행하면서 체계적인 단계를 갖추고 있어서 예술대학의 수준처럼 높은 교육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Q) (보라) 현재 CENTER 운영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이곳은 2006년부터 열었습니다. 현재는 60~70명 공부 중입니다. 현재 10기까지 있고, 다음 11기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교육 과정은 6개월 basic course에서 2년까지 단계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 작품도 만들고 직접 교육도 하는 아티스트입니다. 회화, 조각 등 여러 예술분야를 다루고 있고 2년에 3000루피를 교육비로 받고 있으며 오직 수업료로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Q) (보라) CENTER 설립 목적은 어떻게 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center의 목적은 네팔의 전통 살리기입니다. 불교와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와 민족 주변 국가 인도의 영향으로 많은 문화가 융합되었지만 네팔 전통문화는 점차 힘이 약해지고 있습니다. 네팔 전통문화를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이 없는 현지에서 그래픽 디자인, 인체해부학 등 넓은 범위로 공부를 진행 중이고 아티스트에서 사회적 기업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training center에는 여성, 장애인도 있고 학생들의 연령, 성별이 다양합니다. center에서 대학으로 발전시키려는 희망을 가지고 있고 여자들은 주로 탕화관련 디자인을 배우고 있습니다.

 

Q) (보라) 전통문양들은 모두 순수 네팔문양인가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이곳의 아트들은 인도영향을 주로 많이 받아 나온 문양들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순수 전통 네팔 문양을 제일 중요히 여기고 이를 가르치려고 합니다. 이태리에 알리기도 하면서 현재는 해부학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통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분야에 대한 관심과 공부가 필요합니다.

 

 

 

 

 

Q) (보라) 작품을 판매하기도 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학생들은 미술품이 판매가 되니까 전통 예술을 배우려고 오기도 합니다. 아티스트들은 외부에서 작품을 주문 받아서 작업을 하기도 합니다. 최대 많은 돈을 받고 판매한 것이 2000만원입니다. 우리는 workshop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고 shakya는 전문 네팔 예술인으로 자신의 판매 shop도 갖추고 있습니다다. 또한 다양한 예술shop과 연계하여 학생들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진짜 예술에 대해서 공부하거나 비즈니스를 위해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네팔의 가내 수공업으로 예술이 전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skill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공부를 위해서 본 training center는 중심역할을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Q) (보라) 왜 본인이 사회적기업가라고 생각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한마디로 하면 네팔의 전통을 이어가기 때문입니다. 한국에 민화를 가르치는 곳이 없듯, 우리는 네팔의 대를 이어주는 일을 해줍니다. 그리고 세계 사람들에게 '아트'분야로 네팔을 알리고자 합니다.

 

Q) (보라) 앞으로의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A)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전통 네팔 아트만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곳은 현재 이곳밖에 없습니다. 대학을 나와도 이곳에 와서 코스를 밟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네팔은 졸업장만을 받기위한 퀄리티가 낮은 대학이 많습니다. 지금은 트레이닝 센터지만 앞으로 대학을 만들고 싶습니다.

 

 

사실, 국내에서는 문화예술, 특히 전통문화분야에서

사회적기업 스스로의 경쟁력만으로 자생하기는 정말 힘듭니다.

하지만 이 곳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었습니다.

 

사설 학원에 가까운 운영형태였지만 교육자가 삼은 네팔의 전통 예술에 관한 한계 인식

열린 기회제공만으로 개인의 문화와 예술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일자리 창출형 사회적기업이 아니라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것만으로도 사회적기업이 된다는 부분이 인상 깊었고

사회적 기업에 관한 개념을 넓힐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