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① 'S.E.A center' & ② 'Sana Hastakala'
(2) ③'The village cafe' & ④'Nepal Traditional Handicraft Training Center'
(3) ⑤'3 sisters adventure trekking' .
& ⑥'Women's Skills Development Organization'
네팔은 힌두교와 카이스트 제도로 인해 여성인권문제가 심각하지만
이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네팔여성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사회적약자인 네팔 여성이 직접 나서서 여성들과 아이들을 위해 일자리를 창출하거나,
그들을 돕는 사회적기업을 만드는 그들만의 노하우와 여러 이야기를 듣고싶었습니다.
종교적 전통과 가부장적인 사회 때문에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어려운 네팔에서
기존의 남성들만의 산업이었던 여행산업에 여성이 뛰어들었습니다.
트레킹사업의 세자매는 여성들을 트레킹 교육 등을 통해 가이드 교육을 하고 트레킹코스를 개발합니다.
또한 사업과 동시에 빈곤퇴치운동, 아동착취 보호운동 등을 진행중입니다.
우리는 그녀들에게서 많은 산업중 남성들만의 산업이라 인식되었던 여행 산업에 뛰어들게 된 계기와,
여성이기에 가능한 강점과, 사업을 시작할 때에 어려웠던 점 등을 알고싶어서
2013년 10월 2일,
'보라'는 '3sisters'를 방문했습니다. ^^
▲ 클릭하면, '3sisters'홈페이지로 이동
창립년도 |
xxxx년 / 설립자 Lucky, Dicky and Nicky |
현 대표 |
Lucky |
주소 |
Lakesidem Khahare Pokhara - 6, Nepal |
조직구성 |
Lucky, Dicky and Nicky 와 NGO EWN, 게스트하우스와 관광업 |
기관설립배경과 목적 |
Lucky, Dicky and Nicky 이 세명의 네팔 자매는 여성 트레킹 가이드 분야의 개척자이다. 1994년 이후, 그들은 네팔의 여자를 위해 일했다. 90년대 초반에는 아무도 여성 트레킹 가이드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 네팔의 사회는 여성은 이등 시민으로 간주되는 정통 힌두교 종교에 의해 지배된다. 그들의 역할은 근면한 아내, 자상한 어머니, 그리고 순종하는 며느리가 될 것이다. 사회는 여성에게 문지방을 넘어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명령한다. 하지만 세 자매는 자신들의 뜻대로 도전했다. |
[Interview]
<Interviewee_ 'Lucky'>
Q) (보라) 왜 이 사회적 기업을 시작하게 되었나요?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내가 1994년 포카라에 게스트하우스에 왔을 때 많은 사람을 만났습니다. 많은 사람들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는데 그 때 많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네팔 사람들은 산과 관련하여 익숙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여성도 예외가 아닙니다. 네팔 여성들은 산에 익숙하지만 직업으로 삼기에는 트레킹 산업이 일이 힘들고 여자가 약하다는 편견이 심했습니다. 하지만 이 산업은 여성들이 일자리를 찾게 하고 트레킹 가이드의 공급과 트레킹인구의 수요도 만족시킬 수 있는 부분이라고 보았습니다. 저는 여성들에게 가이드 교육을 시킨다면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여성들에게 루트에 적응하는 법, 가이드의 자세, 응급조치 등 가이드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 NGO 단체인 EWN을 통해 여성의 복지도 함께 신경 쓰고 있습니다. 여성들에게 기술을 가르치고 직업을 주는 구조는 돈을 벌게 하고 지속적으로 직업을 이어가게 하여 삶의 자신감을 부여해준다고 봅니다. 또한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지원하면서 네팔의 여성들이 다양하고 넓은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여성들을 고용하게 되면 남편, 아이들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EWN이 보조적으로 트레킹 기간 동안 아이들을 맡아주고 학교 교육도 16세까지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Q) (보라) 왜 트레킹 사업을 여성과 함께 하려고 했나요?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네팔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인터넷이 형성되어있지 않고 남성과 동등하게 일하고 월급 받을 수 있다는 평등 의식도 약합니다. 여성 트레킹 가이드가 된다는 것은 여성 자신들에게 큰 도전이고 우리는 더 많은 여성들과 일하길 원합니다. 네팔 여성들은 여행할 수 있는 기회가 없습니다. 트레킹 가이드는 단순히 국내에서 일자리를 얻는 것을 떠나서 세계에서 오는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세계적인 네트워킹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팔 여성들이 많은 것을 보게 하고 싶습니다. 네팔 여성들도 트레킹 가이드를 도전하면서 흥미로워하고 항상 일에 열정적으로 도전하고 있습니다. 1년 동안 약 80명의 트레킹 가이드를 양성했습니다. 네팔은 산업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여성들이 일할 수 있는 곳이 적고 수공예품 중심의 생산에 치우친 부분이 있습니다. 트레킹은 네팔여성들에게 또 다른 여행으로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수공예품 외 다양한 산업에 눈을 돌리게 하고 싶었습니다. 모든 여자가 똑같이 손재주를 가지고 기술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여성들의 능력을 발현시키고 싶었습니다. 수공예품이 네팔 여성의 고정된 일이 아니라 다양한 직업을 통해 행복함을 느끼게 하고 싶습니다. 한 명의 행복은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창의적으로 자신의 일을 해내고 직업에 대한 만족도, 행복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되기 바랍니다.
Q) (보라)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를 설립하는 생각을 갖게 되기까지 당신의 인생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내가 어렸을 때 우리 가족은 4명의 오빠, 2명의 여동생과 남동생이 있었습니다. 나는 몸이 약했고 매일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가족들은 나를 보호하려고만 했습니다. 하지만 난 시도하는 것을 원했고 20세 때 카트만두로 공부하고자 무작정 떠났습니다. 아버지는 처음에 이러한 나의 모습을 믿지 못하셨지만 홀로 카트만두에서 공부하면서 스스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행복했습니다. 나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아닌 스스로 해야 했습니다. 아버지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허락해 주셨고 나는 조금씩 나만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나는 트레킹 시장에 도전하고 싶었습니다. 내가 시도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네팔 여성은 수공예품, 이것만 해야해가 아니라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트레킹의 매력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트레킹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감탄하고 좋아하는 모습이 너무 즐거웠고 산 근처에 살고 있는 여성들이 많아서 지역을 잘 이해하고 트레킹 산업을 잘 이끌어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Q) (보라)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가 변화시키고 있는 네팔의 모습은 어떤 것입니까?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여성이 직업을 구했다는 것, 지식을 가르치는 트레이닝이라는 것,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 돈을 벌어서 배분하면서 책임감이 높아졌다는 것. 임금에 공정성을 부여하고 말보다 행동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Q) (보라)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의 비전은 무엇입니까?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우리의 성장이 자연스러운 것을 바랍니다. 우리는 천천히 매일 성장하고 있습니다. 양이 아니라 질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많은 여성들에게 기회를 줄 것이고 교육을 제공할 것입니다. 여성들의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키울 것입니다. 여성의 가이드가 필요한 한곳에 우리는 항상 있을 것이고 그러한 곳을 찾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과 접촉할 것입니다. 우리는 네팔의 여성이 독립적인 자립형 여성이기를 바랍니다.
Q) (보라) 여성가이드의 인상깊은 사례를 듣고 싶습니다.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캐나다 40대 여성이 트레킹 가이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아이를 낳은 후에도 이를 생각하여 도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처럼 여성은 지속적으로 인생에서 자신의 꿈을 실현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 좋았습니다. 한 사람의 삶이 가족,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보라) 여성 트레킹 가이드들의 인식변화를 언제 느끼시나요?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외면으로 봤을 때도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서비스 태도가 보이며 자신이 주체적으로 피드백을 하거나 새로운 루트를 찾아낼 때 인식변화를 느낍니다. 그들이 돈을 벌고 자립할 때, 스스로 자신의 일을 찾아갈 때 인식변화를 했다고 봅니다.
Q) (보라) 한국의 여성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A) (3 Sisters Adventure Trekking Company) “시도해보고 하고 싶은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네팔은 가진 것이 많지 않지만 우리는 해낼 수 있었다. 우리는 트레킹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내가 찾고 있는 ITEM에 도전하라.”
트래킹 산업을 통해 여성문제를 해결하는 독특한 3시스터즈를 보면서
사회문제 인식 뿐만아니라 사업아이템 및 시장수요를 잘 판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표님의 말씀 중에 다른 트레킹 영리기업들이 쓰리시스터즈의 성공을 시기하신다고 하셨습니다.
바로, 교육과 트레킹가이드들의 전문성 때문입니다.
대상자들에게 진짜 전문성을 갖추게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직업교육’ 이라는 기본적인 형태의 지원을 전문적으로 하여 경쟁력을 갖추었다는 점이
인상깊었고, 이를 통해 트레킹산업 전체의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우리가 만난 대표 럭키는 여성은 가내 수공업만 할 수 있다는 편견을 깼습니다.
“네팔의 여성들은 왜 수공업으로만 자신의 직업을 선택해야하는가?”에 대한
편견을 깨는 문제 인식이 많은 여성들의 삶을 바꿔놓고 있다고 합니다.
네팔의 여성들은 수많은 외국인들을 만나고 서로의 삶을 공유하면서 자신들의 시야를 넓히고 있습니다.
개인의 작은 변화가 사회의 변화를 이룰 수 있다고 믿는 대표의 철학이 인상깊었습니다.
또한 럭키는 여성문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우리나라의 여성문제 뿐만아니라 세계의 여성문제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여
이와 관련된 조언도 함께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 '3 sisters' Guest House & Restaurant
"네팔 여성의 손으로!"
마지막 순서입니다. ^^
2013년 10월 4일, '보라'는 'WSDO'를 방문했습니다. ^^
'WSDO'는 Women's Skills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약자인데요,
천연 양모 펠트, 햄프 소재의 수공예품을 만드는 공방입니다.
여성들이 즐겁게 일하고 창출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을 목표로 400여명의 여성들이 함께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 일하는 여성들에게는 초등자녀를 위한 장학금, 건강보험이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기업운영 및 복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 클릭하면, 'WSDO'홈페이지로 이동
창립년도 |
1975년 / 설립자 Ram kali Khadka |
주소 |
Sri Jana Chouk 8, Pokhara, Nepal |
현 대표 |
Ram kali Khadka |
핵심주체 |
Ram kali Khadka 와 400명의 여성 근로자 |
기관설립배경과 목적 |
30년 전 여성이 의료서비스도 받기 힘들었던 시절 여성문제에 대해서 항상 생각해왔다. 포카라의 여성 Training center 교육을 통해 직업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및 여성일자리사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현황 |
- 1975년 정부의 프로젝트로 시작되다. - 1989년 정부의 지원이 끊기고 프로젝트가 사라질 위기에 Ram kali Khadka가 10000루피의 가족들을 통한 자본으로 설립. WSDO는 현재 3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Sri Jana Chouk 8, Pokhara, Nepal 에 위치한 WSDO는 본체로서 사무실과 SHOP을 같이 운영하고 있다. WSDO의 상품은 유럽, 아메리카,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본과 한국에 공정무역 거래를 하고 있으며 400여명의 근로자를 일자리 창출 뿐만아니라 교육을 시키며 성장해가고 있다. |
[Interview]
<Interviewee_ 'Ram kali Khadka' 대표>
Q) (보라) 간단하게 기업소개 부탁드립니다.
A) (Women’s Skill Development Organization) 네팔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나라입니다. 우리는 여성들에게 기술을 알려주는 사회적 기관으로써 여성들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제품관련 기술을 전파하고 생산하고 판매하여 여성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고자 합니다. 어린 여성들이 자라고 직업이 없는 사회 문제는 굉장히 심각합니다. 이는 좋은 교육을 통해 좋은 일자리로 그들의 삶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좀 더 넓은 지역의 여성들과 만나며 사업을 확장시키고 싶고 우리 공장의 분업 기술을 배우는 것은 그들에게 큰 도전이 될 것입니다.
Q) (보라) 네팔의 사회문제를 인식하게 된 계기와 활동방향은 어떻게 되나요?
A) (Women’s Skill Development Organization) 저는 여성의 문제가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의료서비스도 받기 어렵고 하지만 30년과 다른 상황입니다. 우리는 여성의 힘을 키우는 것이 본 사업의 핵심이며 NGO도 다가가고자 노력중입니다. 저는 포카라의 여성 Training center를 통해 교육을 접하게 되었고 직업을 위한 교육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마하구띠, 둘꾸띠와는 다른 형식의 생산방법을 취하고 있고 그들은 집에서 가져온 생산품이라면 우리는 바로 생산품을 만들어냅니다. 우리는 개개인에게 direct로 접근하여 생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NGO 형식으로 자발적으로 적극적으로 개인 대 개인으로 접근합니다. (마하구띠, 둘꾸띠는 manager를 통해 공장에서 그룹으로 개인과 만난다.)
Q) (보라) 한국의 여성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A) (Women’s Skill Development Organization) 저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이미 많은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성을 중심으로 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직업을 가지고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넓히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많은 교육을 접했으면 좋겠습니다.
▲ 'WSDO' shop & 그곳에서 판매하는 물건들
WSDO는 여성들과 정말 가족과 같은 관계를 구축하고 있었습니다. 입구부터 모든 여성구성원의 이름을 간판으로 붙여놓은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WSDO의 제품은 디자인과 품질도 매우 뛰어났습니다. 같은 수공업 기업을 만나봤지만 ‘네팔의 수공업이 왜 힘이 있는가.’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제품에 이어 WSDO의 생산공정을 볼 수 있었는데, 그 모습을 본 저희는 정말 놀랐습니다. 수공업 제품이라는 업종은 같지만 그들은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많은 물건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WSDO는 공장형식을 도입하여 가내 수공업이 아닌 직장 형식으로 많은 여성들과 함게 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중간에 휴식을 즐기면서 합창단들의 노래와 춤에 몸을 맡기며 일을 즐기는 모습은 일방적인 노동자가 아닌 동반자로서 모든 이가 행복한 삶을 꿈꾸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수공업이라는 큰 방향에서도 얼마나 다양하게 여성의 사회적 문제에 다가가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 일하는 여성들의 모습
▲ 대표님과 함께
2013년 10월, 우리는 네팔의 여성들을 만나러 떠났습니다.
눈앞에 보이는 총을 든 군인,
알아들을 수 없는 대화와 다양한 피부색이 섞인 사람들,
낡은 푸세식 화장실을 갖춘 작은 규모의 공항과 낯선 향기.
내가 알던 일상이 아닌 곳에서의 그 두근거림과 설레임 그리고 불안감.
실타래처럼 엉킨 복합적인 느낌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수도인 카트만두의 뜨거운 햇살아래
신호체계가 없는 차들과 비포장도로로 인한 뿌연 모래먼지 와
수많은 사람들을 지나쳐 방문한 네팔의 사회적기업.
그리고 그곳에서 만난 네팔의 여성들.
그들은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그것을 직접 행동하며 비즈니스로 해결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바로 네팔의 여성 사회적기업가입니다.
2013년 10월 첫 주 간 네팔에서의 경험은
서랍장에 두고두고 꺼내 보고 싶은 사진첩과 같이
인생에 있어 잊지 못할 추억이자 배움이 되었습니다.
'2013 SEEKER:S Story > *보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라_해외탐방' (2) ③'The village cafe' & ④'네팔 전통수공예 교육센터' (1) | 2013.11.19 |
---|---|
'보라_해외탐방' (1) ①'S.E.A 센터' & ②'Sana Hastakala' (0) | 2013.11.19 |
'보라_해외탐방' "네팔 여성의 손으로!" (0) | 2013.11.19 |
보라_소개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