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그 동안 라이트 위버스는 2008~2010년에 걸쳐 유럽의 생태 공동체를 중심으로 개인적으로 탐방해왔습니다. 본 탐방은 일본에 있는 생태 공동체와 네트워크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합니다. 일본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문화적으로 가까운 나라이자, 생태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 사례를 보이고 있습니다.
1) 카가와현에 있는 와아이 커뮤니티는 공동육아와 교육을 계기로 2005년에 형성된 초기 공동체입니다. 와아이가 추구하는 관계 회복과 자기실현, 인간다움의 비전을 어떤 방식으로 일상 안에서 구축하고, 공동체를 만들어가는지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또한, 최근 생태공동체로 발전하면서 변화되고 있는 모습은 라이트 위버스에게 좋은 모델이 될 것입니다.
2) 시즈오카현에 위치한 코노하나 패밀리는 안정적인 운영과 조직, 비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생태 프로그램과 공동체 체험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생태 공동체로서, 국제생태마을 네트워크의 아시아 사무국 역할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의 다양한 공동체들과 연대하고 있으며, 높은 생산물 자급자족률을 보이고 있는 동북아시아의 생태마을 혁신사례의 한 곳으로 꼽힙니다.
2. 탐방 국가 분석
1) 일본 (Japan)
산업화와 근대화가 먼저 진행되었던 유럽과 미주 국가들의 경우, 고학력, 고소득층의 은퇴자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부터 탈도시화와 농어촌으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일본도 1980년대부터 지역 현안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2007년 이후부터는 베이비붐 세대인 은퇴자들의 이주가 증가할 것을 예상하여 지역 정부와 농촌부, 마을 단위로 지역경제발전과 문제를 바탕으로 한 지역 활성화 사업, 마을가꾸기와 커뮤니티, 생태 마을 사업 등 주민참여가 결합된 사업들이 도시와 농어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 일본의 생태 공동체 현황
* 생태공동체 (GEN, 세계생태마을 네트워크의 정의) : 사회적 자연적 환경을 재건하기 위해, 참여 과정을 통해 의식적으로 디자인 된 지역에 기반한 계획 공동체 혹은 전통적 공동체를 일컫습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4가지 특징,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의 다양한 요소들을 전체론적인 관점들 안에 하나로 통합하고 있습니다.
4가지 유형의 생태마을 ( Miki Yoshizumi ) | |||
유 형 | 특 징 | 일본 생태 공동체 | |
거주형 | 독립형 | 자급자족, 일 - 생활 거주 공동체 | 야마기시 공동체 코노하나 패밀리 와아이 커뮤니티 |
의존형 | 친환경적 건축, 생활 환경 만들기, 코하우징 프로젝트 중심의 공동체 | Kobunaki-eko-mura (정부, 시민사회 대규모 생태마을 건설 프로젝트) | |
비거주형 (기능형) | 산업형 | 산업 폐수, 산업폐기물,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순환형 산업시스템 구축 (Zero-Emission, 재활용) | Eco-town Industries |
교육형 | 생태교육/ 생태마을 관광 | Earth Design School Tanba |
이러한 구분들은 생태마을 (ecovillage) 의 정의를 폭넓게 정의한 것입니다.
거주형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특정 공간 혹은 지역에 함께 거주하며 일상으로부터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형태의 공동체입니다. 계획형 생태 공동체, 계획형 영성, 종교 공동체, 공동 주거, 생태마을이 여기 포함됩니다. 비거주형 (기능형) 공동체는 공동이 목적을 성취하고자 모이지만, 반드시 같은 장소에 함께 살지는 않는 공동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성수련공동체, 생활공동체, 마을만들기 운동, 지역통화운동(LETS) 등이 있습니다.
우리는 생태적 삶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 중에서도, 거주형 중심의 공동체로 이루어진 일본 생태마을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이후 생태 공동체로 표기) 일본에서도 환경과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2000년대에는 도시, 지역, 농어촌 마을 등에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들에서 프로젝트들이 생겨났습니다. 민관 협력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지역의 생태마을들도 조성되었습니다. 그러나 GEN의 정의를 따른 생태 공동체의 개념에 가까운 생태 마을은 많지 않습니다. 본 탐방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이념적, 생태적 지역 공동체로서의 생태 공동체보다는 계획공동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습니다.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하며, 공동체 내에서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구조가 순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거주-독립형 생태 공동체를 중심으로, 라이트 위버스의 팀의 비전과 사례연구에 초점을 맞춰, 와아이 커뮤니티와 코노하나 패밀리 두 곳을 탐방하였습니다.
3. 탐방 지역 분석
1)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와아이 커뮤니티)
- 위치: 일본 시코쿠[四國] 가가와현[香川縣]
- 면적 : 375.11km²
- 인구: 419,299명 (2010년 2월 1일)
산업화와 근대화가 먼저 진행되었던 유럽과 미주 국가들의 경우, 고학력, 고소득층의 은퇴자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부터 탈도시화와 농어촌으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일본도 1980년대부터 지역 현안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2007년 이후부터는 베이비붐 세대인 은퇴자들의 이주가 증가할 것을 예상하여 지역 정부와 농촌부, 마을 단위로 지역경제발전과 문제를 바탕으로 한 지역 활성화 사업, 마을가꾸기와 커뮤니티, 생태 마을 사업 등 주민참여가 결합된 사업들이 도시와 농어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코노하나 패밀리)
- 위치: 일본 시즈오카현[靜岡縣] 동부, 후지산(山) 남서쪽에 있는 위치
- 면적: 314.81 km²
- 인구: 122,461명
인구 약 12만(1997). 구(舊) 시역의 오미야[大宮]는 종교 ·상업으로 발달하였습니다. 특히 후지산의 등산 기지로서 발전하였습니다. 미노부선[身延線] 철도가 개통된 후에는 풍부한 지하수를 이용해서 방직·피혁·제지·기계·제재·목공·식품 공업이 발달하였습니다. 북부의 아사기리[朝霧]고원에서는 낙농, 남부의 후지산 기슭에서는 잎담배와 차의 재배가 성합니다. 관광목장, 골프장, 캠핑장 등의 휴양시설이 많으며 후지 5호(五湖) 순회 기지이기도 합니다.
'2012 SEEKER:S Story > Light Weav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방보고서] 일본 생태마을 공동체를 통해 본 체험형 프로그램 - (3) 木の花ファミリー Konohana Family (코노하나 패밀리) (0) | 2012.11.29 |
---|---|
[탐방보고서] 일본 생태마을 공동체를 통해 본 체험형 프로그램 - (2) わあい WA+AI (와아이 커뮤니티) (0) | 2012.11.20 |
[액션프로젝트 보고서_캠프] 2012 선셋장항 페스티벌 힐링캠프 참가(7/14 ~15) (0) | 2012.09.17 |
[액션프로젝트 보고서_멘토링] SNF 국제교류프로그램 기획자 Somboom Chungprampree 사무총장과 미팅 (0) | 2012.09.13 |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 첫 번째 별자리 만들기 (0) | 201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