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6 SEEKER:S Story/*완주적정기술숙녀회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완주적정기술숙녀회


 

완주 숙녀 행동 세부실행계획

 

1. 숙녀가 간다

1) 목적

- 유사한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한 여성 귀농귀촌인, 청년그룹을 만나 지역사회 원래거주민, 다른 세대의 다양한 사람들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과정과 방법을 인터뷰한다. (농촌과 여성, 농촌과 청년)

- 적정기술 사례를 활용하여 삶터를 꾸리고 청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한 사례를 탐방하고 관계자를 인터뷰한다. (여성과 적정기술, 청년과 적정기술)

 

2) 기대효과

- 완숙회의 탄생배경은 농촌사회의 폐쇄성과 다른 세대와 관계 맺기의 어려움이었다. 비슷한 조건의 다른 농촌지역 선배 귀농귀촌인들과 청년그룹 성공사례에서 해결방법이나 다른 관점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3) 인터뷰/탐방 내용

구분

대상

위치

선정 이유

궁금하거나 배울 점

농촌

과 여성

문화

기획

남원

산내

잡지 발행, 농촌 성문화 다시보기 캠페인, 공간 운영, 공동체 라디오 등 시골에서 여성주의 문화활동을 한다

비혼 여성이나 1인 가구의 활동비율. 꾸준히 활동할 수 있는 힘의 근원. 원주민인 지역민들과의 관계 형성 노하우

남원

남원 읍내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귀촌 여성들. 직접 화덕을 만들고 집을 고치는 등 적정기술 사례를 활용했고 가족이 아닌 여성그룹이라는 점에서 완숙회와 유사

단체활동이나 개인적인 작업(번역, 기사작성)을 직업으로 삼는 여성 귀촌인에 비해 장사는 지역사회와 관계를 더욱 잘 맺어야 할 것이다. 지역민들의 손님 비중이 높은지, 도시와 차이는 무엇인지, 어떤 어려움들이 있는지 궁금

농촌

과 청년

살래

청춘

식당

마지

남원

산내

대안학교 청년들이 산내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밥상 개념의 식당

교사나 지역 어른 세대와의 갈등은 없었는지, 식당 운영의 어려움은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젊은

협업

농장

홍성

11년부터 청년들이 모여 협동조합 방식으로 농장을 운영하고 있음. ‘조대성의 farm므파탈이라는 팟캐스트 운영 중

지역과 더불어 농장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청년으로서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농장 운영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과 해법은 무엇인지

여성

과 적정

기술

남은혜

(달바)

서울

실력 있는 여성 목수로 서울 지역에서 평판을 쌓아가고 있음

여성 목수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과정. 여성목수로 일한다는 것은 어떤지. 여성 대상의 기술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지 함께 고민

유희정

(소란)

서울

전환마을 운동가. 영국 토트네스 전환마을 활동가 3. 퍼머컬쳐과정 운영자. 풀요리 연구가.

토트네스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대안적인 활동들은 어떠한지. 기술적인 측면에서 세대와 젠더에 따른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김성원

장흥

적정기술 전문가로 저술, 강의 활동 활발(흙부대집, 직조 등 생활기술). 15년에 해남에서 진행됐던 여성 대상 집짓기 워크샵 언니집 프로젝트강사

남성 중심의 적정기술 영역에서 여성은 어떤 방식을 취해야 하는가. 언니집 프로젝트 진행시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

청년

과 적정

기술

하자

작업장학교

서울

청년들이 여러 가지 적정기술 워크샵을 진행하고 적정기술주택을 짓는 등 여러 가지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여러 적정기술 프로젝트의 진행과정과 그 결과 얻은 것은. 청년 대상의 적정기술 워크샵 진행방식에 대해 조언 얻기

문화로놀이짱

서울

청년들로 구성된 사회적기업으로 버려지는 목재들을 손노동을 통해 재활용하고 업사이클링하는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임

청년들이 모여 일을 만들어가는 과정. 그 과정에서 재미와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있는지. 여러 작업 과정에 여성이 참여하는 양상은 어떠한지

 

(4) 관련 링크

- 문화기획달 https://www.facebook.com/mooncult2014/posts/450725471790970

- 살래청춘식당 마지 http://jirisaneum.net/majy

- 언니집 프로젝트 http://www.ildaro.com/sub_read.html?uid=7258&section=sc3

- 김성원 https://www.facebook.com/fatdogfish

- 유희정(소란)

http://www.epnews.net/news/view.html?section=9&category=95&no=12249

- 하자작업장학교 http://productionschool.org/board/

- 문화로놀이짱 http://norizzang.org/

 

 

2. 깔깔깔 완숙

1)기획의도

- 완주에 살고 있는 청년 여성들이 모이는 장 마련, 억울하고 속상한 일 수다떨며 치유, 대처법 공유

- 수다모임 완주숙녀포럼에서 숙녀회에 고발합니다팟캐스트 제안

 

2)내용

- 완주 귀촌 여성 사례 공유

- 속상한 일 수다로 푸는 코너 운영

 

3)기대효과

- 완주숙녀회에서 하고 싶고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지속적인 흥미 유지

- 귀촌인 네트워크 형성, 소식 및 생활정보 제공

- 타지역 귀촌성공사례 수집 공유

 

4)파일럿 실행 계획

- 최근 유럽 생태공동체 탐방을 다녀온 한 숙녀의 유럽의 청년농장사례 녹음

- 국내 탐방 및 인터뷰 다녀온 내용도 포함 (예를 들면 남원 처자의 한 마디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