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SEEKER:S Story/*디지털사회혁신 랩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지털사회혁신랩] 에필로그_글로 배운 디지털사회혁신, 직접 경험하기 #탐방가니까좋더라_1 :: 일단 인터뷰를 통해 답을 얻을 수 있으니까 2013년부터 많은 질문을 들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질문은 디지털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였다. 유럽연합에서 발행한 많은 보고서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덧붙여 우리 스스로 개념을 잡아왔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디지털사회혁신이 무엇이라고 설명하는 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것이 디지털사회혁신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할 것 같다. 눈에 보이는 문제가 디지털과 기술로 해결되는 것을 경험할 때에 비로소 디지털사회혁신이 이것이라고, 손에 잡히는 사례로 설명해줄 수 있지 않을까. 유사한 문제의식이 유럽에 있었고, 영국에 있었다. 필요한 것은 스토리텔링이라고. 나날이 발전해가는 기술과 많은 사회혁신 사례들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맥락을 알 수 있..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레이캬비크 시청 시민참여플랫폼 담당자 인터뷰 [디지털사회혁신랩] 레이캬비크 시청 Sojna 인터뷰 시민단체가 개발하고, 시장이 도입한 ‘더 좋은 레이캬비크’플랫폼. 개발과 도입으로만 플랫폼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실제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제안이 잘 처리될 수 있도록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이 필요하죠. ‘더 좋은 레이캬비크’플랫폼의 경우 담당 공무원인 Sonja가 바로 그 운영자였습니다. 시민참여플랫폼, 초반 시스템 설계가 중요Sonja에게서 실제로 담당하는 운영자로서 어떤 지점이 개선 되어야 할지 물어보았을 때, 그녀는 단연코 체계적인 시스템이라고 대답했습니다. “ 욘 그나르가 시장이 되었을 때, 그는 새로운 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었다. ‘더 나은 레이캬비크’의 경우 도입하기까지 약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아이디어를 행정 안에서 실행한..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코미디언에서 시장으로, 욘 그나르 인터뷰 [디지털사회혁신랩] 코미디언에서 시장으로, 욘 그나르 인터뷰 얼마 전 TV프로그램을 통해 코미디언 출신 시장으로 한국에 소개될 정도로 욘 그나르의 이력은 매우 독특합니다. 젊었을 때에는 밴드를 했던 경험도 있고, 유명한 코미디언이었으며, 아이슬란드에 최고당(Best Party)를 만든 당수이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레이캬비크 시에 시민참여플랫폼인 ‘더 좋은 레이캬비크’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시장입니다. 디지털사회혁신랩은 욘 그나르를 만나 어떤 시정 철학으로 시민참여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새로운 정치의 패러다임, 소통의 정치학 2008년 아이슬란드는 국제 금융위기 발발 이 전까지 복지 수준도 높고 시민들 만족도도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 후 정부의 무능함에 대한 불신과 정치세력..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시민참여로 바꾸는 시민재단(Citizen Foundation) [디지털사회혁신랩]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시민참여로 바꾸는 시민재단(Citizen Foundation)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시민참여로 바꾸는 시민재단 2008년 아이슬란드의 금융위기는 경제 위기뿐 아니라 아이슬란드의 민주주의에도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기존 정치와 시스템에 대한 불신은 특히 젊은 세대의 민주적 참여를 급락하게 만들었습니다. 2008년 이 후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시민의 참여로 바꾸고, 불신을 이겨내고 다시 정부와 시민들의 신뢰를 쌓아가는 것을 미션으로 하는 아이슬란드의 시민단체가 있습니다. 바로 시민재단(Citizen Foundation, www.citizens.is/)입니다. 특히, 시민재단은 시민들이 스스로 정책을 제안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시민참여 플랫폼 ‘당신의 우선순위(You..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CAST, 비영리자선기관을 위한 IT전문지원조직 CAST, 비영리자선기관을 위한 IT전문지원조직 CAST는 비영리단체를 전문으로 디지털 프로젝트 엑셀러레이팅을 하는 기관입니다. 이제 설립된 지 1년이 갓 넘은 신생단체이지만, "노미넷트러스트"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던 엑셀러레이팅 전문가들이 뜻을 모아 만든 내공있는 단체이기도 합니다. 디지털사회혁신랩으로서는 출국하기 전, 가장 만나고 싶었던 단체였는데 실제로는 기대 이상이어서 탐방기관 중 가장 흥분+행복했던 기관입니다 :) 아직 신생단체여서 베스널그린벤쳐스의 사무실 한켠을 빌려쓰고 있었지만, 놀랄만큼 과 같은 지향을 갖고 있고, 닮은꼴 사업비전을 전개하고 있었어요. 핵심 멤버들이 를 초기부터 일궈오다가 함께 독립한 사람들인데, 최소한 12년 이상 이분야에서 함께 일하며 합을 맞춰온 사람들이라 팀워크와 내공..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노미넷트러스트, IT기업의 임팩트 사회공헌 노미넷트러스트, IT기업의 임팩트 사회공헌 노미넷트러스트는 영국의 .uk 도메인 등록관리 회사 이 출연해 세운 공익신탁기금도 디지털사회혁신 저변확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08년 사회공헌차원에서 를 설립하여 초기에는 비영리단체의 디지털 프로젝트를 지원했답니다. 2011년 무렵부터 소셜테크벤처를 엑셀러레이팅하는 '소셜테크시드'를 시작하였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 소셜테크시드 & 노미넷트러스트100 대표적인 프로그램의 이름은 '소셜테크시드'인데, 선발된 소셜벤쳐에게 10개월 동안 대가없는 지원금을 약 8천만원씩 지원해 줍니다. 정기 멘토링, 피칭기회 및 네트워크 연계 등도 함께 진행하구요.한국에도 잘 알려진 "앱스포굿(Apps for good)" 이나 "코드클럽(Code club)" 이 지원이..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베스널그린벤처스, 진화하는 디지털사회혁신 엑셀러레이터 베스널그린벤처스, 소셜이노베이션캠프를 만든 바로 그 친구들 베스널그린벤처스(Bethnal Green Ventures)는 한국에 잘 알려진 공익해커톤의 원조격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을 시작한 이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엑셀러레이터입니다. 하지만 이제 더 이상 해커톤은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해요. 여기저기 비슷한 행사들도 범람했고, 일회성 이벤트가 끝나면 사람들과 결과물들이 사라져 버리는 것에 회의감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매우 공감하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문제의식입니다. ※ 베스널그린벤처스 누리집 :: https://bethnalgreenventures.com/ 2011년 즈음 해커톤 결과물들과 팀을 멘토링하고 후속펀딩을 매칭해 준 것이 계기가 되어 자연스레 엑셀러레이터로 발돋움을 했습니다. 초창기 주요..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NESTA "디지털사회혁신(DSI) 유럽, 현재와 미래“ "디지털사회혁신(DSI) 유럽, 현재와 미래“ NESTA는 영국 사회혁신허브로 EU 디지털사회혁신 연구의 총괄을 맡은 기관입니다. NESTA (National Endowment for Science, Technology and the Arts)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혁신 재단이면서 연구, 실행, 지원 등 영국과 유럽의 사회혁신을 선도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에서 2013년~2015년까지 진행한 ‘디지털사회혁신 연구 프로젝트’는 네덜란드 ‘Waag Society’ 등 유럽 각국의 사회혁신 기관 6곳이 참여했는데, NESTA가 이 프로젝트의 총괄 연구기관을 맡기도 했습니다. 지난 7월 1일, 유럽 디지털사회혁신 연구프로젝트 총괄을 맡아 이끈 의 Peter Baeck을 드디어 오프라인에서도 조.. 더보기 [디지털사회혁신랩] 해외탐방 프롤로그 "디지털사회혁신(DSI) 유럽, 연구탐방 다녀오겠습니다" 공교롭게도 유럽연합 탈퇴결정투표 직후의 영국, 대통령 선거 직후 아이슬란드를 방문하게 됐어요.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2주 간의 탐방 기간 동안 저희가 살펴보고 올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디지털사회혁신의 현재와 미래 디지털사회혁신 특화 엑셀러레이팅 모델 레이캬비크 시 민관협력 시민참여온라인플랫폼 모델더불어, 디지털사회혁신을 비롯한 사회혁신 의제들은 유럽연합 차원에서 추진되어 왔고 재정도 지원된 터라, 관련기관들의 현실적인 고민도 깊어지지 않았을까 싶은데 현지 분위기도 살필 수 있을 듯 합니다. 아래 기관과 담당자들을 방문인터뷰 예정이고, 귀국해서 여러 자리를 만들어 계속 함께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날짜 기관명 담당자 탐방 내용 6월 28일 ..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보고] 정치벤처 '와글' 김정현 매니저 사회혁신은 한 명의 혁신가가 만들지 않습니다. 다수의 시민들이 힘을 모을 때 가능하죠. 우리가 디지털사회혁신을 주목한 이유는 디지털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연결되어 대규모 협력을 하고, 협력을 통해 그간 해결되지 않던 다양한 사회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시민들이 힘을 모으면 정치도 바뀔 수 있을까요? 이 과정에서 디지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자 정치벤처 ‘와글’의 김정현 매니저님을 만나보았습니다. Q. 지난해부터 ‘와글’의 기사와 공개강연을 통해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 혁신 사례가 국내에 많이 소개되었습니다. ‘와글’의 간략한 소개 부탁드려요. A. ‘와글’의 기본 모토는 '와글와글한 군중의 힘으로 만드는 세상을 바꾸는 실험'을 하는 정..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보고] 디캠프 양석원 사업운영팀장 인터뷰 [디지털사회혁신랩/인터뷰2] 소셜벤처 인큐베이터 - 양석원 디캠프 팀장 인터뷰 디지털사회혁신랩은 해외 IT/디지털 분야 소셜벤처 엑셀러레이팅 기관 탐방을 준비하며, 국내 대표적인 소셜벤처 인큐베이팅 기관을 탐방했습니다. 이번에 찾아간 ‘디캠프(D.camp)’는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이 운영하며 창업 생태계 허브 역할을 하는 플랫폼입니다. ‘디캠프’는 엔젤투자자 매칭, 스타트업 리크루팅, 데모데이 등 스타트업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양석원 사업운영팀장님을 통해 국내 소셜벤처 인큐베이팅 기관이 일진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2%가 무엇일지 들어보았습니다. Q. '디캠프'는 규모가 크고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디캠프'에 대한 간략한 소개 부탁드려요. -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은..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보고] 언더독스 김정헌 대표 인터뷰 [디지털사회혁신랩/인터뷰1] 소셜벤처 인큐베이터 - 김정헌 언더독스 대표 “해 본 사람들”이 알려주는 창업 실전 노하우, 사회적 기업가로서의 면모를 찾아가는 6주 300시간의 교육 과정, 교육에서 투자까지 차근 차근 성장 단계를 밟아가는 시스템. 디지털사회혁신랩은 소셜벤처 인큐베이팅 기관인 의 김정헌 대표를 만나 가 시도하고 있는 다양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Q.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 는 "교육하고, 육성해서, 투자한다."는 모토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창업사관학교" 입니다. 사회적 기업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선정해 6주 300시간 동안 방법론을 교육하고, 팀 빌딩을 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작년 7월부터 시작했고, 1기부터 3기를 거쳐 현재 4기(부..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디지털사회혁신 전문가 인터뷰 「 2016 SEEKER:S 액션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Ⅰ. 프로젝트 개요 팀 이 름디지털사회혁신랩대표김지혜 프로젝트 명디지털사회혁신 국내 영역별 전문가 인터뷰프로젝트구분국내탐방 ( ) 인터뷰 ( ) 포럼 ( ) seekers 연합 프로젝트 ( ) test action 실행 ( ) 기타 ( , 설명) 프로젝트기간(일시)2016년 3월 1 ~ 11일 *인터뷰 진행 일정 프로젝트지역(장소)서울프로젝트대상디지털사회혁신 국내 영역별 전문가대상자수3인프로젝트목적 해외 시민정책참여 플랫폼 사례 개요 및 특징 이해, 컨택포인트 공유 국내 소셜벤처 엑셀러레이터 전략 및 보완점 이해주요프로젝트내용세부프로젝트명주요 내용인터뷰 1. 이진순 소장풀뿌리시민정치연구소 ‘와글(WAGL)’ 김정현 매니저스페인 ‘Madrid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