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SEEKER:S Story/*촌구석쌀롱 썸네일형 리스트형 [촌구석쌀롱] 2016 국내탐방 프롤로그/에필로그 [촌구석쌀롱] 2016 국내탐방 프롤로그/에필로그 촌구석쌀롱 (ssalon C) 프롤로그 *** 국내탐방을 시작하며 : 어쩌면 국내 탐방으로 시작되는 이 일정이 우리에게 행운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생각이 문득 스쳤다. 2016년 8월 10일 찌는 듯 무더운 날씨에도 마음만은 쾌청하다. 우리가 만날 사람들과 공간에 대한 호기심이 기대감을 증폭시켜 해외탐방에 대한 아쉬움을 잠시 잊게 한다. 사실 2016년 초반 팀 촌구석 쌀롱이 결성될 때부터 해외탐방에 대한 설렘 가득한 마음을 안고 수개월을 보내왔다. 먼 거리 마다않고, 모든 일에서 우선순위로 서울을 오갈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돌이켜보면 지난 수개월 동안 씨즈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속 에서 거제라는 지역의 촌구석에 문화예술공간을 형성한다는 것이 어떤 ..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4 <상가리문화곳간/탐나라공화국>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4 5. 상가리 문화곳간 가락 애월읍 상가리 마을에 위치한 문화곳간 가락은 6.25 때 피난민 수용소로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마을창고로 그리고 예전에 마을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학교로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는 공간이다.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디자인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고, 지역주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문화와 지역 그리고 디자인을 결합한 공간으로 만들어져 운영 되어 오고 있다. 상가리 문화곳간 가락의 전경 상가리는 디자인 리모델링을 거쳐 상가리 서학당 문화곳간으로 조성되었고, 주민참여형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상가리의 2개의 창고를 이용하여 전시공간, 체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상가리는 학문과 예를 중요시 여기는 서학당이 설치되었던 ..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3 <아트창고/바다쓰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3 3. 아트창고 제주도 문화예술 공간의 현황과 예술 행정에 대한 이해를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이자, 지역의 아티스트들을 어떻게 발굴하는지 그리고 기획자로 거듭나도록 돕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제주도 덕천리 작은 마을의 길 가에 있지만 해외 문화공간과의 연계사업 등 활동 영역은 이미 바깥을 향하여 있다. 최근에 진행한 오픈스튜디오에서는 해외작가 3인의 작업이 전시 되었다. 아트창고의 전경 : 어딜가나 사람 많은 제주 안에 이런 조용한 마을이 있다니, 전형적인 제주의 작은 산간마을 안에 아트창고가 있다. 공간은 박금옥 대표가 손수 칠하고, 꾸민 곳이다. 관람객들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작업도 전시되고 있었다. 레지던시 작가들도 박금옥 대표의 밥을 먹는다. 우리..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2 <문화공간 양/바람부는연구소:이광준소장>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2 2.문화공간 양 화려하진 않지만 소박하게 그리고 그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애정으로 기록하는 공간, 문화공간 양을 제주시의 거로마을에 안에 위치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양반이나 지식인이 많이 살았던 마을로 근현대사에 아픈 과거까지 있는 이 마을은 매력적이다. 마을이 있는 곳에는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를 우리가 다 알 수 없는 이유는 각 자의 가슴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문화공간 양은 지나간 기억들을 현실적인 매체들로 보여준다. 마을의 이야기를 책과 지도로 만들고 그 역사가 오롯이 기록되어져 간다. 열심히 기록하지만 아직도 누락된 것이 많다고 한다. 마을의 박물관이자 사랑방 그리고 문화공간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곳이다. 거로마을의 중심에 위치한 문화공간 양 : ..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1 <재주도좋아>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제주편 -1 1. 재주도좋아 제주도를 탐방지로 정한 이유는 촌구석쌀롱이 사업을 시작하려는 거제와 상당히 유사한 지점이 많기 때문이다. 관광지로서 많은 과도기를 겪어왔고, 아직도 제주에서는 다양한 일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제주도는 서울이나 수도권의 행태와는 다른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독자적이면서도 지역적인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지역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들의 방법 역시도 다른 곳과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재주도 좋아는 제주라는 강한 지역성을 바탕으로 활동하는 팀이다. 바닷가에서 주운 유리로 만든 악세서리들, 포장박스도 일일이 수공으로 제작한다. 제주 바다의 쓰레기가 멋진 화분으로 바뀌었다. 공간 구석구석에 작은 아이디어들이 보인다. 공간 안에는 4,5가지의 체험을 할 수 있다..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수원편 <대안공간눈/예술공간봄/행궁동레지던시>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수원편 대안공간 눈은 개인이 마을에서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현재까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공간이다. 공간이 오래가는 이유는 억지가 없기 때문이다. 공간이 생겨난 것도 필요에 의해서 그리고 공간에서 행해지는 모든 일들이 다 이유가 있고, 필요에 의해서 진행된다. 요즈음에 생겨난 복합문화공간이나 대안공간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몇 년 못 견디고 결국은 문을 닫는 공간들이 한 두 곳이 아니다. 이미 서울이나 수도권에 많은 문화공간들이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그러나 눈은 90년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것도 개인에 의해서 그것이 우리를 이 공간으로 향하게 만든 큰 이유였다. 시부모님이 직접 지은 가정집을 이윤숙 대표님과 김정집 관장님이 부부가 직접 수리하고 보수하고.. 더보기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서울편 <미나리하우스/DDP> [촌구석쌀롱] 국내탐방 서울편 에이컴퍼니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나리하우스는 아트레지던시 그리고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게스트하우스도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운영을 중단한 상태) 갤러리나 레지던시는 대중들에게 어려운 곳이다. 그러나 미나리하우스는 문화공간을 일상으로 가지고와 문화예술 소비에 대한 인식을 가볍게 해주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미나리 하우스 벽에 걸린 작품들은 할부로 구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간 구석구석에 미나리하우스와 관련된 작가들의 포트폴리오들이 있으며, 그 자료들을 자유롭게 볼 수 있다. 작게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노트,엽서,컵 등 대체적으로 평범한 아트상품들이 대부분이었다. 1인 레지던시를 운영하고 있는 미나리하우스 현재는 김종미 작가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1년이라는 계..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보고] 아트캠프 인 잔듸밭골 [액션프로젝트 보고] 아트캠프 인 잔듸밭골 2016. 03 05 - 06 1박2일 동안 거제도와 잔듸밭골 마을 탐방 후 영남권 아티스트 들과 거제도가 가진 장점과 단점 회의 및 라운드 테이블을 진행했습니다. 거제도에서도 시골인 이 촌구석에 아트 레지던시의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아티스트들과 함께 문화사업을 한다는 것에 대한 문제점 및 현실적인 해결방안, 실행계획에 대하여 논의 하였습니다. 아트캠프 전에 참여자들에게 거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거제도가 가진 장점 중 하나인 섬의 자연환경을 컨셉으로 사례지 탐방을 다녀왔습니다. 탐방지에서 작가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장소에서 드로잉과 사진작업을 진행할 목적으로 사전탐방을 다녀왔습니다.(사전탐방지는 거제도 공곶이) 최근에 일반인..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촌구석쌀롱(ssalon C)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