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SEEKER:S Story/*푸드포체인지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다.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다.




로컬푸드, 식생활 교육 책이나 자료를 검색하다보면 자주 볼 수 있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허남혁'박사님 이지요!

로컬푸드 씽크탱크라고 생각한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뵙고 영국의 로컬푸드 정책과 식생활 교육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영국 로컬푸드 정책



영국의 로컬푸드 하면 제이미 올리버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요^^ 제이미 올리버의 활동으로 음식이 국가적으로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는 이야기로 인터뷰를 시작하였습니다. 



푸드포체인지 : 정부에서는 어떤 식으로 로컬푸드나 식생활 교육을 추진하고 있나요?


허남혁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영역을 아우르는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먹거리 협의체를 구성하여 로컬푸드를 증진하고자 한다. 국적에 따른 차별을 EU에서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영역이 로컬푸드 운동을 주도하고 중앙정부나 지자체들은 이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국가, 지역차원에서는 캠페인을 주도하고 NGO 단체들이 프로젝트 단위의 식생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푸드포체인지 : 그럼 재정적 지원은 정부에서 거의 다 조달하고 있나요?


허남혁 : 영국 정부의 정부 지원도 있고, 특이한 부분은 복권 기금을 이용하는 부분이다. Big Lottery Fund(BIG)은 Food for Life Partnership에도 지원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BIG은 2005년부터 Changing Spaces 프로그램을 하는데 그 중에 로컬푸드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푸드포체인지 : BIG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나요? 지원금은 어느 정도인가요?


허남혁 : 전체 예산은 5,750만 파운드이고, 2014년 12월까지 지원한다. 사업 지원 대상은 로컬푸드를 재배, 가공, 마케팅, 배분에 관계되는 프로젝트를 직접 진행하거나 그런 활동의 인식을 재고하는 잉글랜드에 있는 NGO들이다. 크게 5가지 테마를 두고 있는데, 지역 먹거리 재배, 문화적 다양성 찬양, 로컬푸드 관련 사회적 기업 지원,기술과 학습, 건강한 식생활과 건강한 삶이다.


푸드포체인지 : 혹시 그 중에 직접적으로 식생활 교육과 관련된 사례가 있을까요?


허남혁Garden Organic에서 강사 양성 프로그램이 있다. 한국으로 보면 텃밭 강사 양성 프로그램인데 Gardeon Organic에서 강사 양성을 하고 master gardner로 지역사회에 먹거리 재배 및 텃밭 가꾸기 조언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Food for Life Partnership을 통한 프로그램도 BIG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텃밭교육, 요리교육, 농가체험교육, 학교급식 개선 등을 하고 있다. 


푸드포체인지 영국에서 식생활 교육은 정규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나요? 


허남혁 : 정부에서 먹거리 정책은 있지만 아직 정규과목은 아닌 것으로 안다. 하지만 곧 정규과목에 포함되는 단계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식육교육이 많이 추진되는 일본에서도 아직 정규과목으로 지정되지는 않았고, 각 단체나 학교에서 시행하는 식생활 교육을 매년 내각부에서 정리해서 식육백서를 발간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로컬푸드 정책에 대해서 좀 더 여쭈어보았습니다.^^ 

전달해주신 자료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1) 런던



- 2010년 시민단체인 서스테인(Sustain)산하에 런던의 건강한 먹거리 생산과 소비를 연결해주는 런던 푸드링크(London Food Link)를 조직했다.

- 2006년 '런던을 위한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라는 2015년까지의 10개년 계획을 발표. 런던 지역에서 먹거리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유기농과 근교에서 생산된 로컬푸드, 공정무역 먹거리 공급 등을 통해 시민 건강을 증진하겠다는 장기 프로그램이다. 



2) 웨일즈 지방정부


- 웨일즈에 살고 있거나 가까이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이용가능한 로컬푸드 판매망에 공급하는, 활력있고 수익성이 높으며 지속가능한 로컬푸드 부문 비전 계획하였다.

- 웨일즈 정보는 2009년 6월, <로컬푸드 수급 실천계획> (Local Sourcing Action Plan) 발표했다.

- 로컬푸드 수급 실천계획을 발표하고, 2009년부터 실천계획 상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농민장터, 박스배달, 농가직매장, 인터넷 택배판매 같은 직판사업 지원한다.

- 지역시장 및 다양한 소매점들에 공급하기 위한 생산 및 가공 부문 지원한다. 




로컬푸드와 식생활 교육



로컬푸드를 확산하는 것과 식생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함께 추진되는 일들인데요. 위의 로컬푸드 정책을 추진하는 내용에는 식생활 교육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식생활 교육은 내가 먹는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심이 되는데요 ,텃밭이 좋은 교육 현장이 되고 있었습니다. 


출처 : garden organic


허남혁 박사님을 인터뷰하는 동안 내내 들었던 생각은 푸드포체인지가 정부 지자체와의 협력을 잘 하여 식생활 교육이 곳곳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현재는 바른먹거리 학부모-아이 교육만 교육부와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만, 좋은 식생활 교육 컨텐츠로 아이들을 만날 날이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