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 SEEKER:S Story/조각보

[액션프로젝트 보고] '아날로그 은평 조각보' 출판

액션프로젝트 결과보고서


'아날로그 은평 조각보' 출판 프로젝트

 

 

 

 

1. 기획 의도

 

- 아날로그 감성으로 장터 어르신에게 다가간다

- 브로슈어 겸 장터 여행 지도로 활용도를 높인다

- 지역 기반 청년기획자 배포로 1차 네트워크 추진

 

'가장 오래된 시장과 가장 새로운 소비자를 잇는다'. 조각보는 IT 콘텐츠 회사로 모바일, , SNS를 통해 전통시장과 지역상권의 소식을 전한다. 조각보의 종이 출판은 아날로그 감성을 더했다. 스마트폰 등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지역 어르신들께도 서비스 내용을 전하고자 하였다. 앞면은 조각보를 알리는 브로슈어로 , 뒷면은 은평구의 전통시장 두 곳 콘텐츠를 선별해 지도로 제작하였다. 지역 기반 전국 청년기획단을 배포지로 선정해, 간담회에서 지속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2. 진행 경과

 

(1) 진행 내용

 

- 철심 없이 접지로 브로슈어/지도 겸용 제작

 

앞면은 일반적인 브로슈어의 형식을 따랐다. 조각보 회사 소개와 연혁, 수상 내역, 서비스 및 제품(모바일 앱 '조각보') 소개를 담았다. 이와 더불어 본 프로젝트를 통해 브로슈어 겸 지도로서 알뜰쇼핑/여행 정보를 전하고자 하였다. 기존지도 내에 드러나지 않던 시장 내 점포를 소개하는 마이크로 맵핑이다. 뒷면 지도에는 연서시장의 버선가게, 약재노점, 옥이네김밥과 대조시장의 꽈배기집(153만두), 왕십리곱창, 불광왕만두의 6곳의 짧은 소개를 실었다. 디자인 상으로는 철심을 쓰지 않고 접지 방식을 통해 6면의 브로슈어 지면을 활용하였다.

 

(2) 진행 대상

 

- 사회적 경제 허브 지역, 은평구 시장 선정

 

은평구는 서울시 내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지만, 시민단체 인프라가 잘 구축된 자치구다. 6월에는 은평사회적경제 특화사업단을 구성하는 등 사회적 경제 허브로서의 발돋움을 꾀하고 있다. 조각보는 은평구 시니어 창업 보육센터가 건립되던 2011년에 개최된 은평구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은평구 상공회장상)을 수상하여 첫 인연을 맺었다. 올해 1,2월 연서시장, 대조시장 2개의 시장을 콘텐츠화해 조각보 웹과 모바일 앱에 게재한 바있다. 7월에는 '은평, 마을이 학교가 되다'를 통해 강의 개설을 검토하기도 하였다.

 

 

 

(3) 추후 배포

 

- 전국 청년 기획단 네트워크 통해 1차 배포 

 

지속적인 지역별 제작을 염두에 두고 배포처를 고심하였다.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청년기획자 단체를 1차로 선정했다. 서울시 영등포구 달시장 기획팀 방물단, 전주 남부시장 청년몰 기획팀 ()이음, 부산 지구인시장 지구인 세 곳이다. 8 17일 홍대 사회적기업 레스토랑인 '카페슬로비' 워크룸에서 3시간여 간담회를 진행하고 상호 네트워크를 추진하였다. 네트워크 미디어로서의 조각보 서비스를 설명하고 참여방법을 안내, 향후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종합적인 협력 가운데 조각보 브로슈어 비치를 건의하였다.

 

 

 

 

3. 종합 평가

 

- 세부 위치 표기 보완,

- 배포처 확대 필요

 

콘텐츠 제작 2월 당시의 지도로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어 은평구 내시장의 위치를 표기하고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향으로 제작하였다. 향후에 조각보 출판 프로젝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 콘텐츠 제작 시점부터 디자이너와 동행하거나, 직접 현장을 방문해 세부 지도를 그리는 작업을 추가하는 등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배포처를 네트워크와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해갈 필요가 있다. 단기간에는 자치구의 지역경제과, 전통시장 상인회, 은평구 유관기관에도 브로슈어를 비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