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SEEKER:S Story/*볼런컬처

#.6 지역 커뮤니티를 위해 존재한다-핸즈온 베이 에어리아

 

 

볼런컬처 팀이 핸즈온 베이 에어리아(Hands On Bay Area, HOBA)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에 앞서 사무실을 둘러 보았는데요 페인트칠하기, 꽃과 나무 가꾸기 등 각종 프로젝트 도구들과 직원들이 필요 할 때면 자유롭게 쉬고 놀고 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있는 날에는 이 물품 도구들을 이동 박스 안에 넣어 트럭을 통해 이동한다며 큰 트럭 이름이 ‘다디’이고 작은 차 이름이 ‘벤지’라며 자동차들의 이름을 소개해주었는데 이름이 참 앙증맞죠! 

 

 

 

사무실 탐방 후 본격적으로 전무이사 ‘로우’와 인터뷰를 진행 하였는데요 볼런컬처를 보자마자 너무나 반갑게 맞이해주셔서 편안한 분위기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핸즈온 베이 에어리아의 사업 범위는 1. Hands on activity(핸즈온 활동) 2. Team Works activity(팀웍스 활동) 3. Hands @ Works(핸즈엣 웍스) 4. Project in a box(프로젝트 인 어 박스) 5. LIFT(리프트)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Hands on activity(핸즈온 활동) 
핸즈온 홈페이지에 있는 이벤트 캘린더를 통해 자유롭게 자원봉사활동 신청 후 활동.

2. Team Works activity(팀웍스 활동) 
여러 명으로 구성 된 팀으로 자원봉사와 함께 단계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간은 6~8주로 첫 째 주는 전문가와 함께 토론하여 팀 스스로 한가지의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를 가지고 프로젝트가 끝나면 또 다른 주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렇게 총 6개의 단계별 프로젝트를 주체적으로 진행한다. 이 활동을 통해 팀원들은 서로를 더 잘 아는 시간과 함께 지역의 이슈를 깊게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에 자발적으로 참여 할 수 있다.

 

3. Hands@Works(핸즈엣 웍스) 
기업과 함께하는 활동으로 기업이 자원봉사활동을 핸즈온에 요청하면 각 기업에 맞는 활동과 비영리 단체를 매칭 시켜 활동하며 핸즈온은 기업과 NPO의 활동내용을 조율하는 역할을 함. 매 활동이 끝난 후 기업, NPO, 자원봉사자들에게 모두 만족도 측정을 실시하며 피드백을 받는다.

 

4. Project in a box(프로젝트 인 어 박스) 
다른 활동들은 봉사자들이 활동 장소로 가야하는데 프로젝트 인 어 박스는 프로젝트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봉사자들에게 직접 가는데 집이든 사무실이든 봉사자들이 원하는 모든 곳은 가능하다. 활동으로는 크게 세 가지 활동이 있는데 첫 번째는 아이들에게 옷을 제공하지 못하는 가정을 위한 유아 옷 만들기. 두 번째는 아이들이 글 읽는 방법을 알려주는 키트로 ABC키트라고 불린다. 세 번째는 아이들에게 환경에 대해 가르치는 키트인데 음식이 어떻게 나고 자라며 아이들의 식탁까지 어떻게 오는 것인지를 통해 환경에 대해 올바른 생각을 할 수 있는 환경 교육 키트를 만든다.

 

5. LIFT(리프트, Leadership Institute Fellowship Team의 약자)
기간은 1년으로 리프트 팀의 활동가들은 이벤트 캘린더에 올라 온 활동들을 참여하기도하며 꾸준한 트레이닝을 통해 여러 가지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배운 후 그것을 토대로 하나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내야 한다. 팀웍스 활동과 다른 점은 리프트 프로그램은 1년 동안 진행 된다는 면에서 기간이 더 길며 하나의 주제가 아닌 여러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활동으로는 모금 활동,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리프트 팀은 비영리 단체에서 하는 모든 활동들을 자체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나름의 비영리 단체라고도 볼 수 있다.

마지막 리프트 활동에서 리프팀은 또한 비영리 단체라고도 볼 수 있다는 말에 볼런컬처는 
“그럼 리프트 팀은 핸즈온 소속인가 지역 커뮤니티 소속인가?”
라는 질문을 했는데요 이에 대한 대답으로 
“둘 다 이다. 핸즈온이 하는 모든 활동들은 지역 커뮤니티에 포함되어있으며 일반 기업들은 이해 관계자들에게 소유가 되지만 핸즈온이 하는 모든 활동이나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들은 커뮤니티를 위한 것이므로 리프트팀은 핸즈온안의 팀이자 지역 커뮤니티 안의 팀인 것이다.”

라는 답변에 핸즈온이 커뮤니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감동도 받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