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SEEKER:S Story

[액션프로젝트보고] 추적 4일 생존자를 찾아서 (오설록 티 뮤지엄, 티 스톤) 셋. 녹차농장 관광 컨탠츠로 진화하다. 매년 70만명 이상의 관광객들의 발걸음을 붙잡는 곳이 있다. 제주도에 있는 '오설록 티 뮤지엄'이다. '오설록 티 뮤지엄'은 한국 최초의 차(茶) 전문박물관으로 2001년 9월 설록차를 생산하는 (주)아모레퍼시픽이 설립하였다. 추사 김정희 선생님이 차를 가꾸었던 곳에 설립된 티 뮤지엄은 제주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기업의 브랜드와 연결시켰다. 박물관은 차의 역사와 다구(茶具)의 역사를 보여주는 ‘차문화실’, 일본, 중국, 유럽의 찻잔이 전시된 ‘세계의 찻잔’, ‘덖음차 공간’,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티 클래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인 오설록을 '플래그쉽 스토어(대표 브랜드 마캐팅 강화 전략)'로 성공시킨 대표적 사례라 할.. 더보기
[액션프로젝트보고] 추적4일 생존자를 찾아서 (제주 폐가살리기 협동조합) 둘.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는 폐가를 살린다? 시골에 사용되지 않는 폐가들이 얼마나 많을까? 통계청에 따르면 농촌에 빈집이 15만동 이상이라고 한다. 사용하지 않는 빈집들을 미간을 회손하거나 우범지대로 사용되기도 한다고 .. 하지만 이런 빈집들도 훌륭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제주 폐가 살리기 협동조합은 이미 폐가 살리기를 4호점까지 진행하고 있었다. 아직 완성작은 없지만 2014년 가을 시기쯤이면 첫번째 완성작을 볼 수 있다고 하니 기대 만발~ (제주 폐가살리기 1호점) (제주 폐가살리기 2호점) 제주 폐가살리기 1호점은 주민이 살고 계시는 집 옆 폐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노란색으로 색칠한 철골구조가.. 더보기
[액션프로젝트보고] 추척4일 생존자를 찾아서 (제주 슬로비) 하나 . 청년들이 운영하는 레스토랑 기사: http://news.donga.com/3/all/20131225/59770722/1 20살 요리사가 사장님? 청년들이 만들어가는 제주 슬로비 ~! 잘 지내고 계시나요? 제주도에 가서 어느 팀을 만날까~? 이곳 저곳을 수소문 하던 중 제주도에서 타지역의 청년들이 직접 레스토랑을 운영한다는 소식을 듣고 꼭 한번 가보고 싶었던 곳 머나먼 섬 지역 제주도에서 어떻게 레스토랑을 직접 운영하고 메뉴 개발을 할까?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해서 요리를 한다고 하는데 지역의 농산물을 어디서 얻을까? 여러 가지 궁금증을 가지고 찾아갔던 슬로비는 참 정감있고 푸근한 인상의 곳 이였다. 처음 나의 시선을 사로잡은 건 슬로비 문 바로 앞에 말려지고.. 더보기
[액션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추적 “4일” 생존자를 찾아서 (시골편) 「 액션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Ⅰ. 프로젝트 개요 팀 이 름 잇수다 대표 장 경미 프로젝트 명 추적 “4일” 생존자를 찾아서 (시골편) 잘 살고 계신가요~? 프로젝트구분 국내탐방 ( 0 ) test action 실행 ( 0 ) 네트워크 행사 개최 ( ) seekers 연합 프로젝트( ) 기타 ( , 설명 ) 프로젝트기간 (일시) 5월2일~ 5월10일 프로젝트 지역(장소) 청송, 제주 프로젝트대상 청년 농사꾼, 대학생, 폐가살리기 협동조합 대상자수 30여명 프로젝트목적 1. 6차 산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장소를 탐방하고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여러 모델을 같이 공유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자리를 가진다. 2. 폐가를 활용하고 공유하는 장소로 사용하는 곳을 찾아 활동에 대한 여러 가지 피드백을 들을 수..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다.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다. 로컬푸드, 식생활 교육 책이나 자료를 검색하다보면 자주 볼 수 있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허남혁'박사님 이지요! 로컬푸드 씽크탱크라고 생각한 로컬푸드 연구가, 허남혁 박사님을 만나뵙고 영국의 로컬푸드 정책과 식생활 교육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영국 로컬푸드 정책 영국의 로컬푸드 하면 제이미 올리버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요^^ 제이미 올리버의 활동으로 음식이 국가적으로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는 이야기로 인터뷰를 시작하였습니다. 푸드포체인지 : 정부에서는 어떤 식으로 로컬푸드나 식생활 교육을 추진하고 있나요? 허남혁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영역을 아우르는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먹거리 협의체를 구성하여 로컬..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푸드포체인지_농장 식생활 교육을 위해 우보농장을 방문하다.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농장 식생활 교육을 위해 우보농장을 방문하다. 푸드포체인지가 추구하는 식생활 교육에는 직접 키워보는 교육이 포함됩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식물이거나 동물입니다. 이들은 우리가 음식으로 먹기 이전에 '생명'이었지요. 이 생명이 어떻게 자라나는지 알게 되면 음식의 소중함에 대해서는 자연스럽게 알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출처 : green-mom 한국의 농장 방문 식생활 교육 한국에서도 농장 방문 식생활 교육은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영기 피디님으로부터 알게 된 울산 친환경 급식 지원센터에서도 농장 방문 식생활 교육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되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식생활 교육을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교육 시 사전에 준비되..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영국 식생활 교육을 취재한 최영기 PD님을 만나다! [액션프로젝트 활동보고] 영국 식생활 교육을 취재한 최영기 PD님을 만나다! 푸드포체인지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기 위해 영국을 탐방하려고 합니다. 영국에서 가장 배우고 오고 싶은 것은 "Food for Life Partnership" 이라는 곳의 커리큘럼인데요. 이렇게 잘 만든 식생활 교육 커리큘럼을 오픈소스로 제공하고 있답니다! Food for Life Curriculum Pack 자세히 보기 최영기 PD님은 4년 전 영국의 급식과 식생활 교육을 취재하여 EBS의 다큐 세계의 교육현장 - 영국, 학교급식 혁명 잘 먹어야 성적도 좋다! 를 만드신 분입니다. 실질적으로 해외 탐방을 준비하고 실행하기 까지의 단계, 그리고 직접 체험한 영국 급식에 관해 배우기 위해 만나뵙게 되었습니..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푸드포체인지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액션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Ⅰ. 프로젝트 개요 팀이름 푸드포체인지 대표 노민영 프로젝트 명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프로젝트구분 국내탐방 ( ∨ ) test action 실행 ( ) 네트워크 행사 개최 ( ) seekers 연합 프로젝트( ) 기타 - 인터뷰 ( ∨ ) 프로젝트기간 (일시) 2014년 4월 18일 ~ 2014년 5월 9일 프로젝트 지역(장소) 서울, 고양시 프로젝트대상 푸드포체인지 대상자수 3명 프로젝트목적 해외 탐방 단체에 다녀온 관계자를 만나 단체에 대한 사전 조사 해외 식생활 교육 사례 조사 급식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식생활 교육 조사 농촌체험 시 농가의 니즈 파악(교육 콘텐츠 및 그 외) 주요 프로젝트 내용 세부프로젝트명 주요 내용 관계자 인터뷰 해당 단체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