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SEEKER:S Story

[액션프로젝트2/4]트리플래닛 친환경 그린플러그드 페스티벌에 참가하다~! 2014년 5월 31~6월 1일, 양일간 서울 난지 한강 공원에서 국내 대표적인 친환경 페스티벌인 [그린 플러그드 서울 2014]가 열렸습니다. (http://www.greenplugged.com/) 시커스 활동을 위해 이것 저것 알아보던 중, 직접 그린플러그드에 부스를 설치할 기회가 생겼는데요.들뜨고 기쁜 마음으로 음악과 함께하는 친환경 페스티벌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D 저희도 이렇게 멋진 부스를 설치하고 사람들을 맞을 준비를 했답니다.저희는 이번 부스 설치를 통해 사람들에게 저희 트리플래닛을 알리는 재미있는 이벤트와 더불어친환경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경험을 얻고, 페스티벌에 실제로 참가한 사람들에게 설문 조사까지 실시하였습니다 :D 현장에는 이렇게 저희 뿐만 아니라 많은 NGO 들이 참여해서 자신들의.. 더보기
[액션프로젝트1/4] 페스티벌 전 사전 설문 조사! 액션 프로젝트로 국내의 대표적인 친환경 페스티벌인 그린 플러그드에 참석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 전에! 사람들에게 숲 조성과 친환경 페스티벌에 대한 인식을 조금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서구글닥스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습니다. 1. 숲 조성에 관한 설문 : 트리플래닛 게임 참여자 + 스타숲 참여자 216명 응답 : 사람들인 어떤 곳에 나무를 심고 싶어 하는지가 궁금해서 기존 저희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습니다. 설문 조사 결과, 사람들은 내가 살고있지 않지만 나무심기가 정말로 필요한 지역에 나무를 심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D 2. 친환경 페스티벌 관련 설문 : 트리플래닛 페이스북 팬 44명 응답 : 다음으로는 저희 SNS인 페이스북을 활용해서 좀 더 친환경 페스티벌에 어울리는 .. 더보기
[액션프로젝트-예고편] 트리플래닛이 버스커버스커 브래드를 만난 까닭은? 트리플래닛에 버스커버스커 브래드가 찾아왔습니다. 왜 왔냐구요? To be continued... T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트리플래닛 - 국내 친환경 페스티벌 현황 조사 「 액션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Ⅰ. 프로젝트 개요 팀 이 름 트리플래닛 대표 이한나 프로젝트 명 국내 친환경 페스티벌 현황 조사 프로젝트구분 국내탐방 ( V ) test action 실행 ( V ) 네트워크 행사 개최 ( ) seekers 연합 프로젝트( ) 기타 ( , 설명 ) 프로젝트기간 (일시) 2014. 04~ 2014.06 프로젝트 지역(장소) 대한민국, 서울 프로젝트대상 국내 친환경 페스티벌 참가자 대상자수 50명 프로젝트목적 1. 국내 팬들의 기존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환경 프로젝트 참여 후 인식 확인 2. 국내에서 진행되는 엔터테인먼트의 환경 관련 활동 현황 파악 주요 프로젝트 내용 세부프로젝트명 주요 내용 친환경 페스티벌 기획자와의 만남 국내 친환경 페스티벌 운영진과의 인터뷰 - 대상 페.. 더보기
[도시여행자 액션프로젝트 #5] J리그 최초의 NPO 서포터즈 '하마토라'를 만나다 국내 프로축구팀 서포터즈는 지역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협동조합이나 시민단체(NPO) 형태로 구성되어 운영되는 곳은 없다. 사실상 대부분이 동호회의 개념으로 존재하는 실정이다. 5월 19일 월요일, 요코하마 F. 마리노즈 NPO 서포터즈 ‘하마토라(Hamatra)’ 를 찾았다. 다양한 NPO 단체들이 모여있는 요코하마 시민공동회의실에 위치한 사무실은 가족적인 분위기였다. 그럼 지금부터 부대표인 사토 카즈노리 씨와 회원인 아야카 씨가 들려주는 하마토라의 자세한 이야기를 만나보자. 도 : 먼저, 어제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가나가와 더비의 승리를 축하드린다.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서포터 조직인 ‘하마토라(HAMATRA)’에 대해 소개를 부탁드린다. 사 : 하마토라는 2009년 4월 30일에 NPO 법인 ..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오픈스터디1st 민주주의 Democracy 2014.6.7 PM2 1st THE NEXT x SEEDS x SEEKERS 오픈스터디 '민주주의'Democracy 다음 세대의 민주주의는 어떤 형태일까요? 살아있는 민주주의 저자 프란시스 무어라페는 “민주주의 기술은 독서나 요리, 농구의 드리블처럼 의도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또한 배울 수 있는 것임을 깨닫는 것, 희망의 민주주의는 거기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민주주의가 고정된 관념이 아니라, 학습하고, 진화 시켜야 할 기술로 이해한다면, 우리의 일상은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까요? 2014년 6월 7일, 더넥스트의 오픈스터디에서 나의 소소한 일상에서 만나는 다음세대의 민주주의 이야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직접 만드는 인문교양지 인디고잉 이윤영 편집장이 합께 합니다. 열여섯 살 때 처음 인문학 공동체인 ‘청.. 더보기
[액션프로젝트]소셜픽션: 따로 또 같이, 대학의 미래를 말하다(소셜픽션w/s) 20대, 우리는, 지금, 대학에서 무얼 하고 있는가? 대한민국의 대학생들은 모두, ‘혼자’ 바쁘다. 저마다 졸업이수 학점을 채우기 위해 무작정 수업을 듣고, 학기 중엔 예고 없이 쏟아지는 온갖 과제와 시험, 방학 때에는 각종 공모전과 대외 활동, 해외 봉사, 아르바이트나 인터경험을 쌓아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뿐인가, 토익과 취업면접, 최근에는 SAT나 다양한 자격증 시험까지 두루두루 준비해야 하는 건 물론이요 거기다 ‘20대’다운 패기와 열정, 꿈까지 갖춘 ‘인생 스토리’까지 만들어야 성공한다고 하니 초중고 시절을 대학 입시만 바라보고 달려온 이들은 어안이 벙벙하다 못해 억울할 지경이다. 하지만 착하고 성실한 우리 학생들은 또 머리에 쥐가 나고 녹초가 되도록 열심히 노력한다. 끝난 것만 같던 고3 시절.. 더보기
[도시여행자 액션프로젝트 #4] 축구여행자, 도도로키 스타디움에 가다 2013년 5월 18일 일요일 가와사키 프론탈레 VS 요코하마 F.마리노스 경기 관람기 경기장을 향하는 골목마다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응원하는 깃발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덕분에 경기장을 찾아가기가 한결 편하다. 경기 시작까지 2시간이 남았는데, 경기장 주변은 많은 사람들로 북적인다.가와사키 프론탈레의 홈경기가 열리는 날에는 축구 이외에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들이 쏟아져 지역 사람들이 함께 어울리기에 좋다. 경기장 주변에는 30여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지역의 기업과 단체 등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함께 고민하기도 한다. 이번 홈경기에는 에너지 절약과 연계한 프로그램들이 많았다.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축구를 단순히 90분 콘텐츠로 바라보지 않는다. 경기가 열리는 전후로의 4시간 이상을 관중들이 경기..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해외 사례 스터디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 협동조합 동물병원,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 알고 싶고 하고 싶은 수 많은 것 중에, 액션 프로젝트로는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에 방점을 찍고 여러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1 -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마포 연남동 노랭이 골목 2 - 동물과 공존하는 서울) 반려견놀이터 +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3 -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의 도시) 세계의 동물 보호소를 통해 보는 제도와 문화 4 - 해외 사례 스터디 ------------------------------------------------------------------------------------------------- 2014년 4월 25일 저녁 7시 2014년 5월 13일 화요일 오..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 도시 - 세계의 동물보호소를 통해 보는 제도와 문화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 협동조합 동물병원,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 알고 싶고 하고 싶은 수 많은 것 중에, 액션 프로젝트로는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에 방점을 찍고 여러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1 -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마포 연남동 노랭이 골목 2 - 동물과 공존하는 서울) 반려견놀이터 +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3 -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의 도시) 세계의 동물 보호소를 통해 보는 제도와 문화 4 - 해외 사례 스터디 우리동생 공지 : http://mapowithpet.com/?p=9213 [오보이의 소개 by 오보이] Oh! Boy 는 지구와 환경을 생각하는 패션, 문화 잡지입니다. 현명한 소비를 통해 자신을 아끼는 만큼 타인과 환경도 생각할 수 있다는 ..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동물과 공존하는 도시 서울 사례 2)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 협동조합 동물병원,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 알고 싶고 하고 싶은 수 많은 것 중에, 액션 프로젝트로는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에 방점을 찍고 여러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1 -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마포 연남동 노랭이 골목 2 - 동물과 공존하는 서울) 반려견놀이터 +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3 -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의 도시) 세계의 동물 보호소 4 - 해외 사례 스터디 우리동생 공지 : http://mapowithpet.com/?p=9157 우리동생의 사례탐방 프로젝트,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 2014년 5월 2일에는 동물보호 민관협력사례로 유명한 강동구의 길고양이 급식소에 다녀왔습니다. 강동구 길고양이 돌봄 단체 '미우캣 보호협회..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동물과 공존하는 도시 서울 사례 1) 반려견놀이터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 협동조합 동물병원,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 알고 싶고 하고 싶은 수 많은 것 중에, 액션 프로젝트로는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에 방점을 찍고 여러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1 -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마포 연남동 노랭이 골목 2 - 동물과 공존하는 서울) 반려견놀이터 +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3 -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의 도시) 세계의 동물 보호소 4 - 해외 사례 스터디 우리동생 공지 : http://mapowithpet.com/?p=9157 공지할 당시에는 광진구에 서울시 반려견놀이터 1호에 가려고 하였으나 2014년 4월 30일, 우리동생의 지역구(?)인 마포구에 반려견놀이터 2호가 개장하여 장소를 변경하였다. * 위치 : 서울시..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 연남동 사례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 협동조합 동물병원,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만들기. 알고 싶고 하고 싶은 수 많은 것 중에, 액션 프로젝트로는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 만들기에 방점을 찍고 여러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1 - 동물과 공존하는 골목) 마포 연남동 노랭이 골목 2 - 동물과 공존하는 서울) 반려견놀이터 +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민관 협력 3 - 동물과 공존하는 해외의 도시) 세계의 동물 보호소 4 - 해외 사례 스터디 [우리동생] 연남동 사례 공유 모임 공지 : http://mapowithpet.com/?p=9118 동물과 공존하는 마을 - 골목 그 고민과 준비를 위하여 * 마포 연남동 갸르릉 노랭이 골목 * 발제 : 연남동 서영미 2014년 4월 29일 저녁 7시 30분 연남동.. 더보기
[액션프로젝트] 실행계획서 「 액션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Ⅰ. 프로젝트 개요 팀 이 름 우리동생 (우리동물병원생명협동조합) 대표 이사장: 정경섭 팀대표: 김현주 프로젝트 명 마을에 동물도 같이 살아요 프로젝트구분 국내탐방 (o) test action 실행 ( ) 네트워크 행사 개최 (o) seekers 연합 프로젝트( ) 기타 (o, 사전 인터뷰, 학습) 프로젝트기간 (일시) 4월 14일~5월 31일 프로젝트 지역(장소) 서울 프로젝트대상 서울시 마포구 대상자수 30명 프로젝트목적 신뢰할만한 협동조합식 동물병원을 거점으로 건강한 반려동물 문화는 물론,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마을 만들기를 펼쳐나갈 주춧돌을 다진다. 주요 프로젝트 내용 세부프로젝트명 주요 내용 동물과 공존하는 : 한국의 사례와 과제 마포구 연남동 골목의 길고양이 돌.. 더보기
[도시여행자 액션프로젝트 #3] 세레소 오사카 서포터의 커뮤니티 '슈큐도'를 만나다 시민구단인 대전시티즌은 세레소 오사카처럼 구단에서 상설 매장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예산부족으로 인해 운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역시 오래 전부터 서포터들이 직접 운영하는 머천다이징 매장을 꿈꿔왔고, 그래서 세레소 오사카 서포터들이 운영하고 있는 머천다이징 매장 ‘슈큐도(SHUKYUDO)’가 더욱 궁금했다. 오사카 슈큐도를 찾았다. 200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10평 남짓한 이 공간은 단순한 축구용품 가게가 아니다. 구단이 공식 매장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팬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공간이자, 그 존재이유는 세레소 팬들을 위한 커뮤니티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오사카에서 마스다(슈큐도 대표)씨를 만나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도 : 만나 뵙게 돼서 반갑다. 먼저, .. 더보기